본 논문은 냉전시기 중에서 1972년 미중데탕트로부터 1992년 한중 수교까지의 시간대에서 일어난 한중관계의 변천과정을 연구하여 국제환경의 급격한 변화와는 차별된 변화 양상을 보여주었던 한중관계의 발전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중관계의 특수성과 현대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2장에서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하여 한중관계의 발전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외적 요인 외에도 관념적 요인을 고려해야 함을 제기한다. 그리고 3장과 4장에서 미중데탕트부터 한중수교까지의 시기를 대략적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로 나누어, 각 시기별로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중관계를 결정하였던 국내외적 요인, 그리고 관념적 요인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한중관계의 발전이 국제환경의 변화와 한중 양국의 국내적 요인 외에도 각국의 정체성 변화와 북한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중요한 발전요인으로 작동하였으며, 이것이 이 시기 한중관계의 차별성과 특수성을 형성하였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