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의 교육통합 과정에서 방과후활동이 선도적으로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북한 학교의 방과후활동의 목적, 운영 및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의 북한교육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정규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방과후활동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 학교의 방과후활동에 주목하여, 북한에서 방과후활동이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활동이 북한에서 대외적으로 보여주는 것과 실제로 경험한 사람들의 인식은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그 실태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북한의 방과후활동인 과외·소조활동의 현황을 보다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문헌연구, 면담, 설문지조사연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의 방과후활동은, 교육활동의 다양성을 넓히고자 하는 본래의 목적을 이루기 보다는, 북한의 체제유지를 위한 통제의 수단으로 변질되어 있음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북한 방과후활동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북한의 전반적인 교육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향후 남북이 함께 교육을협력해 나갈 때 불필요한 갈등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북한의 방과후활동을 이해하는 기초연구로써 추후 남북의 교육통합 과정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