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사회주의 국가 건설은 북한 사회 전반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변화의 한 양상은 '이동'이었다. 전쟁기 폭격과 전선 변화로 인한 인민들의 피난과 이주는 정부의 통제 대상이었다. 전시기 인구이동 통제는 정전협정 이후에도 이어졌다. 하지만 이동은 '통제'의 대상일 뿐, 제한된 것은 아니었다. 북한의 강력한 이동 통제는 1960년대 후반에야 발견된다. 그 이전까지 북한 인민들의 이동 양상은 체제가 정해준 '규칙'을 넘어서는 것이었다. 노동자들은 잦은 이직으로 생산 현장의 관리자들을 괴롭혔고, 관리자들은 노동력 과다 고용으로 그에 대처하고자 하였다. 노동자들의 이직에는 불안정한 배급제 문제도 있었다. 또한 1950년대 공업 복구로 인한 농촌 인구의 도시 이동에 정부는 제한을 걸어야 했다. 이러한 모든 사실은 북한을 엄격한 통제 사회로 보는 기존의 인식을 재고하게 한다.
The war and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nation caused changes to the overall society of North Korea. One of the patterns of the changes was "migration." The government controlled people's evacuation and migration due to bombardment and front changes during the war. Its wartime control of the movement of the population continued even after the ceasefire agreement. However, migration was an object of "control" and not restricted. In North Korea, the regime's strong control of migration was first found only in the second half of the 1960s, before which the migration pattern of people in North Korea was to step over the "rule" set by the regime. Workers gave managers a hard time at production sites by changing jobs frequently, and managers responded to them with excessive employment. The unstable distribution system also forced workers to change their jobs. In the 1950s, the government had to put control over the migration of the rural population to cities after the restoration of industry. All of these facts lead to the reconsideration of the old perception that North Korea was a strictly controlled society.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