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 화교(華僑)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

Social status of the Chinese diaspora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째르치즈스키 표도르
학위 박사
소속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전공 사회문화언론전공
발행연도 2014년
쪽수 63
지도교수 양문수
키워드 #째르치즈스키 표도르   # 북한 화교   # 북한 사회   # 소수민족   # 소수집단   # 중-북 관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북한에서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 (화교, 華僑)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가 쓴 사료는 중국어 자료 및 화교 또는 북한이탈주민과의 인터뷰이다.
현재 북한에는 5000명정도의 화교들이 거주한다. 북한 거주 중국 화교들은 북한의 영주권을 가지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민이다. 화교들은 중-북 국경선을 제한 없이 넘어갈 수 있으며 북한 사회에서 특별한 지위를 소유하고 있다.
필자는 막스 베버(Max Weber)의 정의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부(富), 권력 및 위신 등 세 가지 기준의 결합으로 파악하였으며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의 역사적인 변화를 살펴 봤다. 필자는 북한 역사를 김일성 시대의 초기 (1945년부터 1958년의 중국 군대의 철수까지), 중기 (1958년부터 1971년에 주은래의 북한방문까지) 및 후기(1971년부터 1994년에 김일성 사망까지), 또한 김정일-김정은 시대로 구별하고 각각의 시대에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의 변경을 분석했다.
제3장은 다이아스포라의 기원 및 식민지 시대, 소련 군정, 김일성 시대 초기 역사 관한 것이다. 필자는 일본 제국의 패망, 국공내전 공산당 세력 승리, 그리고 한국전쟁이 화교의 사회적 지위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설명했다.
제 4장은 김일성 시대 중기의 화교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이다. 1958년 중국 군대의 철수 이후부터 김일성은 구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독립하기 시작하면서 정책 또한 독립적으로 실행 또는 변경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화교에 대한 정책 역시 변경되었는바 김일성 시대 초기 특권이 많았던 소수집단의 화교는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중-북 관계의 악화로 인해 점차 차별을 받게 되었다. 필자는 북한 화교 사회적 지휘 하락을 분석하고 특히 1960년대에 화교 귀화 캠페인을 중시했다.
제5장은 1971년부터 1994년까지, 즉 김일성 시대의 후기에 화교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이다. 1971년, 중국 총리 주은래가 북한을 방문해 양국은 관계 정상화를 합의하였다. 이에 북한 당국은 화교에 대한 차별을 중지하고 국적 복권을 허락하였다. 또한, 1971년 중국 당국은 화교 귀국 지원 프로그램을 선언하였다. 필자는 화교의 사회적 지위와 귀국정책 연결을 분석했다.
제6장은 김정일-김정은 시대의 화교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이다. 1990년대 중반 북한은 심각한 경제 위기 및 기근 시기를 맞았다. 북한의 기근은 1990년대 초 소련과 동유럽사회주의권이 붕괴되고 폐쇄적인 경제노선으로 인한 경제난과 식량난의 가중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사회주의 계획경제가 사실상 붕괴되었으며 가중되는 식량난으로 인해 북한 전역에는 장마당(시장)이 등장하게 되었다. 장마당의 팽창은 화교들로 하여금 불법 월경(越境)과 중국으로의 잦은 이동을 하게 하는 역할을 미쳤다. 식의주에 필요한 모든 물품을 중국으로부터 가져왔고 중국 제품의 매매는 화교들에게 큰 이익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경제적인 부유함과 더불어 사회적 지위 상승도 가져오게 하였다, 탈북자들의 평가에 따르면 접경 지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화교들의 생활수준은 남한주민의 평균 생활 수준보다 더 높게 나왔다.
필자는 화교들이 가지고 있는 부와 그에 따른 권력, 위신 등을 놓고 볼 때 그들의 사회적 지위 변경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바로 부였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것은 다름아닌 북한에서 중국인들에 대한 확실한 선입견이 없어진 것, 또한 북한 사회를 장악하고 있는 것은 물질주의 때문이기 때문이다.

This thesis is one of the first Korean-language works that deals with the Chinese diaspora in North Korea (Hwagyo). It is based largely on Chinese-language sources and interviews with Hwagyo, as well as refugees from North Korea. The diaspora itself currently consists of only about 5,000 people. All its members are citizen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permanent residents of the DPRK. However, in spite of its size, the diaspora plays a significant role in North Korean society chiefly because it members can freely cross Sino-Korean border.
The author uses the model of Max Weber, the classical sociologist, to describe the diaspora’s social status. Weber created the so-called “three-component theory of social stratification”. Social status is, according to this model, made up of the wealth, power and prestige that individual or a group possesses. The author therefore describes and analyses how the Hwagyo’s wealth, power and prestige changed over time.
The main body of the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that describe chronologically the history of the Hwagyo. The first of them deals with early part their history in North Korea, starting with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1945 and ending with the withdrawal of the Chinese forces from the DPRK in 1958. The latter event effectively meant that Kim Il-song was free from Chinese and Soviet control and could pursue his own independent line. The chapter describes how the Hwagyo achieved their special status as permanent residents of North Korea and how, subsequently, how they were affected by the creation of the DPRK, the Communist’s victory in the Chinese civil war and the outbreak of Korean War.
In the next chapter discusses how the Hwagyo’s status changed in the Kim Il-song’s era after 1958. Initially a privileged minority, they became a discriminated one. In the 1960s, Sino-North Korean relations deteriorated to the state of near open hostility. Much attention in the thesis is paid to the special schools for Hwagyo and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systematic attempts to bring them in line with North Korean standards, culminating in the 1963 reform which transformed Hwagyo schools, and meant that they effectively became just like any North Korean school. As Sino-North Korean relations began to improve in the 1970s, the state partially reversed its policy toward the Hwagyo. Thus it becomes clear that the wa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reated the Hwagyo and how this treatment changed was closely related to North Korean relations with China and changes thereof.
The penultimate chapter deals with the role of the Hwagyo in modern, post-Kim Il-song North Korea. In 1990s North Koreasuffered a great famine that took the lives of hundreds of thousands of North Koreans. The Hwagyo’s right to travel to and from China played a crucial role in this new and frightening situation. They were able to bring Chinese goods inside the country and sell them. Some Hwagyo, especially those residing in areas close to the border, became very wealthy, with their standards of living surpassing even that of the average South Korean. This chapter presents the available statistical data, describes North Korean rul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Hwagyo and discusses the activities they are typically engaged in inside the country.
It is concluded that wealth of Hwagyo played a far more important role in the construction of their social status than power or prestige. Hwagyo’s access to power remained limited by their status as foreigners, whilst their prestige was almost completely derived from their wealth. The latter is seemingly due to the low life standards in North Korea, which caused the people to value material wealth above other things.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some of the findings are also to be found in an English-language article scheduled to be published in 2015: Fyodor Tertitskiy, “Exclusion as a Privilege: The Chinese Diaspora in North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Spring 2015.
목차
국문요약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목적 = 1
제2절. 선행 연구 검토 = 2
제 3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4
제 2장.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이론적 배경
제 1절. 사회적 지위의 개념 = 8
제 2절. 소수민족의 사회적 지위 = 10
제 3절. 북한 화교와 여타 소수민족과의 비교 = 11
제 3장. 김일성 시대 초기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 (1945 - 1958년)
제 1절. 한반도의 분단과 화교 = 15
제 2절. 화교 특권의 기원 = 16
제 3절.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 특권이 있는 소수민족 = 20
제 4장. 김일성 시대 중기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1958 - 1971년)
제 1 절. 화교에 대한 정책 = 22
제 2 절. 중 - 북 관계 악화와 화교에 대한 정책 변경 = 23
제 3절.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 차별 대상자 = 25
제 5장. 김일성 시대 후기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1971 - 1994년)
제 1절. 북 - 중 관계 정성화 = 27
제2절. 중국의 귀국 화교 지원 정책 = 28
제3절.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 비차별 대상자 = 29
제 6 장. 김정일 - 김정은 시대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 (1994 - 2013년)
제 1절. 화교에 대한 정책 = 30
제 2절. 화교의 생활 및 활동 = 33
제 3절.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 부유한 소수민족 = 38
제 7장. 결론 = 40
참고문헌
부록
1. 노동신문에 게재되었던 화교에 관련 기사 제목 목록
2. 인터뷰 대상자의 목록
3. 주 북한 중국 대사관의 영사업무에 대한 규칙
4. Dprktime.com의 화교 관련 페이지 요약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