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여성의 중년기 이후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 Mandelbaum의 분석 방법론 적용

상세내역
저자 양민숙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공 교육학과
발행연도 2018년
쪽수 166
지도교수 이동훈
키워드 #양민숙   # 북한이탈여성   # 중년기   # 남한사회 적응   # 생애사   # 맨델바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들의 남한 입국이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성인지적관점(Gender Perspective)에서의 적응이론을 제시하는 한편 북한이탈주민여성들의 삶의 질 제고와 남한사회적응을 상담학분야에서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 개입방안과 전략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는 ‘탈북을 경험한 북한이탈여성들의 삶의 이야기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으로 접근했다. 생애사 연구는 개인의 생애연구를 통해 그 사회의 구체적 일반성(das konkrete Allgemeine)을 재구성하는 것으로서 이야기성, 주관성, 시간성을 특징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전형적 사례선정 방법으로 선정했다. 연구자는 북한이탈주민여성들의 전형적 삶을 검토한 후 선정기준을 만들었고 여기에 합당한 5명의 북한이탈여성을 소개 받았다. 생애사 자료는 일반적인 의미의 생애사와 주제중심의 생애사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북한과 남한에서의 역동적 삶을 살펴보기 위해 일반적 의미의 생애사 자료를 수집했다. 생애사 자료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심층면담은 1인당 5회 이상, 회당 60분 이상을 진행했다.
생애사 자료는 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 순으로 분석했다. 삶의 영역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개인 사회 정신적 차원에서 분석했다.
전환점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생의 전환점과 이것을 가능케 한 개인 사회적 전후조건을 분석했다. 적응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고유한 적응양식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1의 경우 삶의 영역은 「광복 후 혁명 열사인 오빠의 덕으로 풍요로움 생활」, 「죄 없이 끌려간 요덕수용소에서 지옥을 체험」, 「북한 실상과 인권 유린 문제를 알리기 위한 삶」, 「최승희 무용의 계승자로서의 자부심과 좌절」, 「기초생활수급자로서의 곤궁한 생활과 인권 옹호가로서의 삶」으로 나타났다. 그의 전환점은 「혁명전사의 동생신분으로 북한에 입국한 후 혁명열사의 유가족으로서 상류층 생활」, 「혁명유가족이라는 후광에 힘입어 최승희의 제자로 입문」, 「레닌그라드대학 출신의 엘리트청년과의 결혼 그리고 남편가문에 불어 닥친 숙청으로 이혼」, 「서른한 살의 엘리트 청년과 재혼」, 「아무런 죄도 없이 요덕수용소에 수용」, 「생존을 위한 중국행 탈출」「남한입국 후 북한 인권옹호가에서 기초생활수급자」로 나타났다. 적응에 있어서 유명 무용가 문하생으로서의 적응은 「최승희제자로서 입지를 굳히기 위한 적응전략」, 결혼과 남편집안의 숙청사건에는「남편집안의 몰락 후 생존을 위한 적응전략」, 재혼 후 가족생활은「재혼 후 새로운 가정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 요덕수용소 시절에는「요덕수용소에서 살아남기위한 전략」, 금광노동시절 적응전략은「광산노동자로서 적응전략」, 중국에서의 전략은 「중국생활에서 인정받기」남한입국 후 적응과정에서는「인권옹호가, 무용가로서의 적응전략」나타났다.
연구 참여자 2의 경우 그녀의 삶의 영역은 「양녀로 입양된 후의 신데렐라 삶」, 「도구적 결혼 생활」, 「남편의 사망으로 인한 궁핍한 삶」, 「딸의 실종과 재회」, 「남한에서의 고단한 삶」, 「신앙인으로서의 만족」으로 나타났다. 전환점은 「3세 때 당 비서 가정 입양」, 「탄광 갱내 운전사 생활」, 「양어머니 중매로 결혼」, 「헤어진 딸의 도움으로 탈북성공」, 「직장 부적응」, 「종교 귀의 후 제자의 삶」으로 나타났다. 적응으로는 「입양아로서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양부모로부터 탈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결혼」, 고난의 행군시기에는, 「흘러가는 현실에 몸 맡기기」, 남편과 사별 후에는 「자력생존」, 남한입국 후에는 「북한 흔적지우기」와 「인적네트워크 구축」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 3의 경우 그녀의 삶의 영역은 「오빠의 병역기피로 인해 좌절된삶」, 「가족해체와 눈칫밥 인생」, 「생존을 위한 무작정 탈출」, 「감시 속에서의 결혼생활」, 「남한정착 후 사회복지사를 꿈꾸는 삶」으로 나타났다. 전환점은 「오빠의 탈영」, 「고난의 행군시절 가족의 이산」, 「중국월경과 농촌생활」, 「남한탈출」, 「탈북남성과의 결혼」, 「사회복지사의 길 입문」으로 나타났다. 적응은 고난의 행군시대에는 「혼자만의 살길을 찾기 위한 중국행」, 중국에서는 「돈의힘을 이용」하는 한편 「죽음을 각오한 결단」, 남한입국 후에는 「자신의 인적자본을 개발」하는 한편 「남편을 생활인으로 만들기」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 4의 경우 그녀의 삶의 영역은 「공무원 집안의 자녀로 태어나 무난한 성장」, 「엘리트 청년과의 결혼과 평범한 삶」, 「남편의 중국 밀입국으로 인해 풍비박산」, 「도망자로서 상갓집 개만도 못한 중국에서의 생활」, 「남한사람들과 갈등의 삶」으로 나타났다. 전환점은 「군 입대와 경비직 배치」, 「엘리트 청년과의 결혼」, 「중국으로의 탈출」, 「남한정착 후의 직장생활」로 나타났다. 적응은 직장인 시절에는 「군 조직에 편입되어 편안한 삶을 누리기 위한 기획」, 무작정 탈영 후에는 「부모의 자원을 이용한 벗어나기」, 중국체류 시에는 「지지처 개발과 틈새시장 개척」, 남한 입국 후에는 「자신의 감정을 앞세운 즉흥적 저항과
정면 돌파」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 5의 경우 그녀의 삶의 영역은 「반동분자의 딸로서 살은 유소년시절」, 「남편과 사별 후 인고의 시간」, 「북한 탈출 후 한족노인과의 결혼」, 「한국입국 후 두 번의 결혼」으로 나타났다. 전환점은 「흥남 철수 시 탈출 실패」, 「반동분자 자손들 간의 결혼」, 「고난의 행군시대 때 두 자녀의 아사」, 「중국탈출 후 생존을 위한 결혼」, 「한국정착 후 네 살 연하 남성과의 결혼」, 「노인과의 결혼과 병수발」로 나타났다. 적응은 반동분자 딸로서 「무조건 참아내기」, 고난의 행군시절 과부로서의 적응은 「몸을 팔아서라도 생존하는 것이 선」, 북한탈출 후의 적응은 「생존수단으로서의 도구적 결혼」, 남한입국 후에는 「든든한 의지 처 찾기」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을 논의했다. 첫째 것은 보호받지 못하는 존재로서 호모 사케르(Homo Sacer)의 삶, 둘째 것은 여성으로서 경험한 이중적 억압, 셋째 것은 북한이탈여성의 트라우마, 넷째 것은 탈북의 구조적 원인과 맥락, 다섯 것은 북한이탈여성들의 피해의식에 대한 논의이다. 마지막 것으로는 연구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여성들의 남한사회적응과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상담심리 차원에서의 구체적 제언을 했다. 그것들 가운데 첫 번째 제언은 북한이탈주민의 초기정착과 적응지원을 위한 전문상담사제도의 법제화이며, 두 번째 제언은 북한이탈주민의 트라우마를 관리하고 이의 해소를 지원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전문상담가의 양성이다. 그리고 세 번째 제언은 종교단체와 연계한 상담프로그램의 구성이고, 마지막제언은 치료공동체의 구성이다.

As an increasing number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are entering South Korea, this study presents adaptation theory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icit concrete intervention plans and practical proposal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field of counseling for adjustment to South Korean society.

The research question is, “What are the life stories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like?” This study was approached using life history research methods. Life history research is an approach to reconstruct the concrete generality (Das konkrete‧ Allgemeine) of a society through the study of an individual’s lifetime, featuring narratives, subjectivity, and tempora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typical case selection methods. The researcher reviewed typical lives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to establish the standards for choosing participants for the study. Five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who met the requirements were introduced to the researcher and they becam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Life history data can be divided into general life history and theme-based life history. In this study, the research collected general life history data to see the dynamics of participants' lives i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Life history research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hich included 5 sets or more of interviews lasting 60 minutes or longer with each individual.

The life history data was analyzed following the order of life, turning points, and adjustment suggested by Mandelbaum. In the area of life, the participants’ lives were analyzed in personal, social, and mental dimensions. Data about their turning points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personal and social conditions which enabled the turning point to affect their lives. In the area of adjustment, each participant's unique pattern of adjustmen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articipant 1
Area of Life: 'Comfortable life as a family member of revolution in Pyeong Yang', 'Miserable life in Yoduk Concentration Camp', 'Life as an anti-Communism human rights supporter and speaker who revealed the reality of North Korea, which violates human rights', 'Passionate life as an Avatar of Choi Seung Hee', 'Life with social security funds'

Turning Point: 'Being an Apprentice of Choi Seong Hee', 'Marriage and her in-laws purged in North Korea', 'Remarriage and comfortable life', 'Deportation to Yoduk Concentration Camp', 'Escape to China', 'Life as a North Korean human rights supporter in South Korea'

Adjustment: Her life history about adjusting was found to involve 'Developing her own way to overcome her physical limitations', 'Dealing with crisis through her background during her husband's purging, 'Using social network and all means to survive in Crisis', 'Facing reality and not giving up', 'Gaining a good reputation to settle down in China', 'Using her experience in Yoduk Concentration Camp as her asset', and 'Keeping proper distance from politics'.

Participant 2
Area of Life: 'Life as an adopted child', 'Purposeful marriage', 'Poverty after husband's death', 'Daughter's disappearance and reunion', 'Hard life in South Korea', 'Satisfaction as a believer'

Turning Point: 'Adoption to the family of a high official', 'Life as a driver in a cone mine area', 'Arranged Marriage by her adoptive mother', 'Escape from North Korea with her daughter's help', 'Maladjustment in the workplace', 'Life as a disciple after conversion'

Adjustment: 'Thinking positively as an adoptee', 'Marriage as a means to escape her adoptive parents', 'Accepting reality', 'Her child's survival', 'Erasing traces of North Korea', 'Establishing a social network'

Participant 3
Area of Life: 'Frustration due to her brother's avoidance of military service', 'Family's separation and life with sorrows', 'Escape from North Korea to survive', 'Marriage under surveillance', 'Preparing to be a social worker in South Korea'

Turning Point: ‘Brother's desertion from military', 'Suffering as a dispersed family', 'Escape to China and life in a rural area', 'Escape to South Korea', 'Marriage with a North Korean refugee', 'Preparation to be a social worker'

Adjustment: 'Escape to China to save herself', 'Using the power of money in China', 'Decision risking her life', 'Developing human capital for herself', 'Making her husband’s livelihood'

Participant 4
Area of Life: 'Comfortable life as a child of a government officer', 'Marriage with an intelligent man and ordinary life', 'Sufferings due to her husband's escape to China', 'Miserable life as a fugitive in China', 'Conflicts with South Koreans'

Turning Point: 'Being enlisted in the military and getting a position as a guard', 'Marriage with an intelligent man', 'Escape to China', 'Adjusting to living and working in South Korea'

Adjustment: 'Joining the military to have a comfortable life', 'Using parents' resources to escape', 'Finding supporters and blue ocean', 'Confronting reality and revealing emotion to resist it'

Participant 5
Area of Life: 'Childhood and youth as a daughter of a government offender', 'Sufferings after her husband's death', 'Marriage with an old Chinese man after escaping North Korea', 'Two marriages after coming to South Korea'

Turning Point: 'Failure in escaping during Heungnam evacuation', 'Marriage with a man who was also a child of a government offender', 'Loss of two children due to starvation', 'Marriage with an old Chinese man to survive', 'Nursing the old Chinese man whom she married', 'Marriage with a younger man in South Korea'

Adjustment: 'Unconditional perseverance as a child of a government offender', 'Prostitution to survive as a widow', 'Marriage as a means to survive', 'Finding steadfast supporters to rely on in South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iscusses the following: (1) the life of ‘Homo Sacer’as an unprotected being, (2) twofold suppression experienced as a woman, (3) the trauma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4) structural causes and contexts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5) victim mentality of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makes specific suggestions in the dimensions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to support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development and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1) Legislation of a professional counseling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 early settlement and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2) Training professional counselors as exper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ho can manage North Korean refugees’ trauma and support their relief, (3) organizing counseling programs in connection with religious organizations, (4) Development of therapeutic communities. This thesis was written to suggest a theory of adjustment and also to elicit concrete intervention plans in the field of counseling to support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to have better quality of life while they are adjusting in South Korea.
목차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1
2. 연구의 의의와 연구문제‧‧‧‧‧‧‧‧‧‧‧‧‧‧‧‧‧‧‧‧‧‧‧‧‧‧‧‧‧‧‧‧‧‧‧‧‧‧‧‧‧6
Ⅱ. 이론적 배경‧‧‧‧‧‧‧‧‧‧‧‧‧‧‧‧‧‧‧‧‧‧‧‧‧‧‧‧‧‧‧‧‧‧‧‧‧‧‧‧‧‧‧‧‧‧‧‧‧‧‧‧‧7
1. 디아스포라 관점‧‧‧‧‧‧‧‧‧‧‧‧‧‧‧‧‧‧‧‧‧‧‧‧‧‧‧‧‧‧‧‧‧‧‧‧‧‧‧‧‧‧‧‧‧‧‧8
2. 중년기 여성의 삶‧‧‧‧‧‧‧‧‧‧‧‧‧‧‧‧‧‧‧‧‧‧‧‧‧‧‧‧‧‧‧‧‧‧‧‧‧‧‧‧‧‧‧‧‧12
3. 문화 적응‧‧‧‧‧‧‧‧‧‧‧‧‧‧‧‧‧‧‧‧‧‧‧‧‧‧‧‧‧‧‧‧‧‧‧‧‧‧‧‧‧‧‧‧‧‧‧‧‧‧‧15
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점‧‧‧‧‧‧‧‧‧‧‧‧‧‧‧‧‧‧‧‧‧‧‧‧‧‧‧‧‧‧‧‧‧‧‧‧‧18
Ⅲ. 연구 방법‧‧‧‧‧‧‧‧‧‧‧‧‧‧‧‧‧‧‧‧‧‧‧‧‧‧‧‧‧‧‧‧‧‧‧‧‧‧‧‧‧‧‧‧‧‧‧‧‧‧‧‧‧‧‧21
1. 생애사 연구 접근의 의의‧‧‧‧‧‧‧‧‧‧‧‧‧‧‧‧‧‧‧‧‧‧‧‧‧‧‧‧‧‧‧‧‧‧‧‧‧‧‧21
2. 연구 참여자 선정‧‧‧‧‧‧‧‧‧‧‧‧‧‧‧‧‧‧‧‧‧‧‧‧‧‧‧‧‧‧‧‧‧‧‧‧‧‧‧‧‧‧‧‧‧22
3. 자료 수집‧‧‧‧‧‧‧‧‧‧‧‧‧‧‧‧‧‧‧‧‧‧‧‧‧‧‧‧‧‧‧‧‧‧‧‧‧‧‧‧‧‧‧‧‧‧‧‧‧ 25
4. 자료 분석‧‧‧‧‧‧‧‧‧‧‧‧‧‧‧‧‧‧‧‧‧‧‧‧‧‧‧‧‧‧‧‧‧‧‧‧‧‧‧‧‧‧‧‧‧‧‧‧‧‧26
5. 연구의 엄격성과 윤리적 문제‧‧‧‧‧‧‧‧‧‧‧‧‧‧‧‧‧‧‧‧‧‧‧‧‧‧‧‧‧‧‧‧‧‧‧‧‧27
Ⅳ. 연구 결과‧‧‧‧‧‧‧‧‧‧‧‧‧‧‧‧‧‧‧‧‧‧‧‧‧‧‧‧‧‧‧‧‧‧‧‧‧‧‧‧‧‧‧‧‧‧‧‧30
1. 연구 참여자들의 생애사 재구성‧‧‧‧‧‧‧‧‧‧‧‧‧‧‧‧‧‧‧‧‧‧‧‧‧‧‧‧‧‧‧‧‧‧30
2. 삶의 영역‧‧‧‧‧‧‧‧‧‧‧‧‧‧‧‧‧‧‧‧‧‧‧‧‧‧‧‧‧‧‧‧‧‧‧‧‧‧‧‧‧‧‧‧‧‧‧‧‧‧43
3. 전환점‧‧‧‧‧‧‧‧‧‧‧‧‧‧‧‧‧‧‧‧‧‧‧‧‧‧‧‧‧‧‧‧‧‧‧‧‧‧‧‧‧‧‧‧‧‧‧‧‧‧‧‧‧48
4. 적응‧‧‧‧‧‧‧‧‧‧‧‧‧‧‧‧‧‧‧‧‧‧‧‧‧‧‧‧‧‧‧‧‧‧‧‧‧‧‧‧‧‧‧‧‧‧‧‧‧‧‧‧‧‧‧55
Ⅴ. 결론 및 논의‧‧‧‧‧‧‧‧‧‧‧‧‧‧‧‧‧‧‧‧‧‧‧‧‧‧‧‧‧‧‧‧‧‧‧‧‧‧‧‧‧‧‧‧‧‧128
참고문헌‧‧‧‧‧‧‧‧‧‧‧‧‧‧‧‧‧‧‧‧‧‧‧‧‧‧‧‧‧‧‧‧‧‧‧‧‧‧‧‧‧‧‧‧‧‧‧‧‧‧‧‧‧152
ABSTRACT‧‧‧‧‧‧‧‧‧‧‧‧‧‧‧‧‧‧‧‧‧‧‧‧‧‧‧‧‧‧‧‧‧‧‧‧‧‧‧‧‧‧‧‧‧‧‧‧‧‧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