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날까?”
투키디데스부터 칸트, 클라우제비츠, 알렉산더 웬트까지 전쟁론 · 군사학 · 국제정치학 대가들의 이론으로 풀어낸 지정학 위기를 극복하는 대한민국 신안보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하마스-이스라엘 전쟁까지 담았다 2025년 최신 자료로 냉철하게 바라본 대한민국 전쟁 가능성 시나리오 “안보 문제는 일상의 문제다” 감성적 · 정치적 진영 간 안보 논쟁을 넘어서는 미 · 중 · 일 · 러 사이 한반도의 지정학적 현실 대한민국은 전쟁 중인 위험한 나라인가 평화로운 나라인가? 한반도는 남한과 북한이 여전히 휴전 상태이며 미 · 중 · 일 · 러 초강대국의 틈바구니에 끼어 있기에 화약고를 넘어 원자로라고 부를 정도다. 아슬한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대한민국에서 안보 문제를 논하는 것은 자칫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하기 십상이다. 그렇기에 한반도 안보 문제에 관한 객관적이고 현실적인 자료를 얻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에 서울대 국제대학원에서 20년간 한반도의 안보를 연구한 신성호 교수가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와 논의의 지평을 마련하기 위해 전쟁론, 군사학, 국제정치학 등의 널리 인정받는 정통이론을 한데 모았다. 이를 통해 모든 한국인의 관심거리일 ‘한반도에 전쟁이 일어날까?’라는 문제에 설득력 있는 대답을 전한다. 이 책은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두 주제에 관해 흥미롭지만 묵직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쟁’에서는 한반도에서 벌어질지도 모를 전쟁 가능성을 냉철하게 검토한 뒤, ‘평화’에서는 한반도의 평화를 유지하고 지정학적 리스크를 지정학적 강점으로 바꿀 방법까지 논한다. 이 과정은 안보와 국방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딱딱하고 지루한 인상과는 달리, ‘한국의 핵무장은 필요한가?’ ‘친중이냐 반중이냐?’ ‘핵우산은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드론은 전쟁법에 어긋나는가?’ ‘로봇이 전쟁을 대신할 수 있을까?’ 같은 흥미를 끄는 주제로 가득하다. 이 주제들은 케네스 왈츠, 알렉산더 웬트 등 국제정치학 대부들의 이론과 핵확산론은 스탠퍼드대의 스콧 세이건, 전쟁법은 후고 그리티우스와 라파엘 렘킨, MIT의 베리 포젠, 테러학은 오드리 크로닌 등 각 분야의 고전부터 최전선 논의까지 망라하여 탄탄하게 주장을 뒷받침한다. 또한 각국의 정책 보고서와 최신 언론 자료까지 더해 대한민국 안보 현안을 전방위로 점검한다. |
---|
목차 |
들어가는 말
[1부 전쟁] 1장 제2의 한국전쟁이 일어날까? 01 한반도와 올바른 전쟁사 02 임마누엘 칸트와 자유주의 전쟁론 03 투키디데스와 현실주의 전쟁론 04 알렉산더 웬트와 구성주의 전쟁론 2장 한국전쟁, 왜 끝나지 않은 전쟁인가? 01 전쟁은 정치다 02 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 03 한국전쟁과 4인의 동상이몽 3장 북한에 코피 전략이 통할까? 01 로버트 아트와 무력 사용의 4기능 02 무력 사용의 실제와 한계 03 북한의 군사도발과 무력 사용의 딜레마 4장 북한은 핵전쟁을 일으킬까? 01 왈츠 및 세이건과 핵확산론 02 존 뮬러와 핵무기 위협 과장론 03 북한의 핵전쟁 가능성 5장 전쟁에 법이 통할까? 01 후고 그로티우스와 근대 전쟁법 02 라파엘 렘킨과 반인륜 범죄 고발과 보호 책임 03 베리 포젠과 인도적 군사개입의 현실 6장 21세기 테러와의 전쟁? 01 근대 테러리즘의 기원과 특징 02 오드리 크로닌과 21세기 극단 테러 03 계속되는 테러와의 전쟁 7장 21세기 총성 없는 전쟁? 01 21세기 사이버 위협과 미국 02 사이버 안보와 미·중 경쟁 03 사이버 안보에 관한 국제규범 논쟁 8장 21세기 미·중 우주 패권경쟁? 01 우주의 상업화와 군사화 02 미·중 우주 정책 03 미·중 우주 경쟁의 미래 9장 터미네이터가 나올까? 01 자율무기 체계와 미래 전쟁 02 자율무기와 인공지능 논쟁 03 한·중·일 삼국의 자율무기 정책 [2부 평화] 1장 총이냐, 버터냐? 01 볼드윈의 수단적·상대적·부정적 안보 가치 02 안보정책의 7요소 03 대한민국의 안보 목표와 정책 2장 국가안보전략의 최고 담당자는? 01 전략, 대전략 및 국가안보전략 02 할 브랜즈와 21세기 미·중 경쟁과 대전략 03 대한민국 안보전략의 책임자 3장 세계 최강 미국의 군사전략은? 01 냉전과 1차 상쇄전략 02 1·2차 걸프전과 2차 상쇄전략 03 21세기 미·중 경쟁과 3차 상쇄전략 04 21세기 미국 군사혁신의 명과 암 4장 한미동맹은 영원할까? 01 글렌 스나이더와 동맹의 종류 02 왈츠, 월트 및 스웰러와 동맹 형성 이론 03 잠재적 패권에 대한 7가지 대응전략 04 동맹 이론을 통해 본 한미·한일·한중관계 5장 한국은 핵무장이 필요한가? 01 냉전기 확장억지 논쟁 02 왈츠와 한중 사드 분쟁 03 한국의 핵무장 논쟁 6장 대북 제재냐 당근이냐? 01 알렉산더 조지와 강압 외교 02 브루스 젠틀슨과 강압 외교 성공 요건 03 한반도 위기관리와 대북 강압 외교 7장 21세기 한국의 새로운 안보위협은? 01 배리 부잔과 안보 개념의 확장 02 기후변화와 21세기 환경안보 03 초저출산·초고령화와 21세기 인구안보 04 한국의 ‘인구절벽’과 국방 8장 한국 국방의 미래는? 01 군사혁신 02 20세기 군사혁신의 성공과 실패 03 21세기 한국의 군사혁신 미주 |
---|
다음글 | 마을로 간 한국전쟁 |
---|---|
이전글 | 핵무기와 핵전략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