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번 연구는 보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남과 북을 바라보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서울올림픽을 두고 남북이 협상하던 과정에서 북한이 ‘악마화’되는 과정과 그로 인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북한과의 체육회담에서도 정부는 철저히 적대적인 입장을 고수했으며, 이는 상식적인 것조차 비상식적으로 보이게 하고, 합리적인 제안을 비합리적인 것으로 둔갑시킨 역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단은 남한과 북한 모두에게 불행한 역사였으며, 그 분단의 역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체육 분야의 남북 회담 사례는 남북 관계의 흐름을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창이었다. 적십자 회담, 고위급 회담, 군사 회담 등 여러 회담이 열렸으나, 체육회담에서 단일팀을 구성하는 문제조차도 첨예한 정치적 입장의 대립으로 진전을 이루기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이 어렵게 만나 작은 성과라도 내게 되면 남북 관계는 잠시 희망으로 전환되었다가, 곧 절망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반복되었다. 그것은 남한과 북한이 가까워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한 내부만이 아니라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이 작동하고 있는 이상 이를 무시하고 남북의 체육인들이 만난다고 하더라도 이를 극복할 열쇠가 우리에게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
---|
목차 |
머리말
1장 | 서론 2장 | KOC 승인과 북한의 등장 1. KOC 탄생과 역할 2. 북한의 올림픽 참가 요구 3. 남한의 거부와 북한 올림픽 참가 좌절 4. IOC 내 KOC 퇴출설에 따른 단일팀 회담 수용 5. 최초의 남북 당국자 체육회담 1) 1차 로잔 회담(1963. 1. 24.) 2) 1차 홍콩 회담(1963. 5. 17.~6. 1.) 3) 2차 홍콩 회담(1963. 7. 26.) 4) 2차 로잔 회담(1963. 8. 19.) 3장 | 북한의 IOC 가입 운동 1. 북한(North Korea) NOC 승인과 1964년 인스브루크, 도쿄올림픽 2. 홍명희, 우리의 국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이다 1) 제67차 멕시코 IOC 총회(1968. 10. 7.~11.) 2) 제68차 바르샤바 IOC 총회(1969. 6. 7.~9.) 3) IOC 인물 간의 입장과 변화 3. 남북 스포츠 분단과 엘리트(전문) 체육 정책 강화 1) 1972년 8월 뮌헨하계올림픽 2) 남북의 국가 주도 스포츠 정책 강화 4. 소결 4장 | 남북 스포츠 대결과 통합 시도 1. 남북 스포츠 경쟁의 소산 2. 1979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구성 회담(1~4차) 1) 1차 회담(1979. 2. 27.) 2) 2차 회담(1979. 3. 5.) 3) 3차 회담(1979. 3. 9.) 4) 4차 회담(1979. 3. 12.) 3.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단일팀 제안과 거부 5장 | 남북의 명암, 88서울올림픽 1. 1981년 바덴-바덴과 서울올림픽 유치 2. 북한의 올림픽 방해 공작 이슈 1) 국제 사회의 올림픽 장소 변경 논란(1982~1986) 2) 버마 폭발 사건(1983. 10. 9.) 3) 김포공항 폭발 사건(1986. 9. 14.) 4) 금강산 댐 개발 대응 사기 사건(1986. 10. 30.) 5) KAL기 폭발 사건(1987. 11. 29.) 3. 1984년 LA올림픽(1~3차 회담) 1) 1차 회담(1984. 4. 9.) 2) 2차 회담(1984. 4. 30.) 3) 3차 회담(1984. 5. 25.) 4) 북, LA올림픽 불참 선언과 남, 체육회담 제의 4. 88 서울, 남북 올림픽 공동주최 논쟁 1) 공동주최 제안 배경 2) IOC 로잔 1차 회담(1985. 10. 8.~9.) 3) IOC 로잔 2차 회담(1986. 1. 8.~9.) 4) IOC 로잔 3차 회담(1986. 6. 10.~11.) 5) IOC 로잔 4차 회담(1987. 7. 14.~15.) 6) 북한의 88서울올림픽 불참 선언(1988. 1. 12.) 5. IOC 고문 피사르(Pisar) 제안과 반쪽 올림픽 6장 | 남북 단일팀 성사와 한계 1.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 1) 1~5차 본 회담(1989. 3. 9.~11. 24.) 2) 1~3차 실무 대표 접촉과 6차 본 회담(1989. 12. 1.~12. 22.) 3) 4~5차 실무 대표 접촉과 7차 본 회담(1990. 1. 10.~1. 18.) 4) 6차 실무 대표 접촉과 8~9차 본 회담(1990. 1. 22.~2. 7.) 2. 노태우 대통령 북방정책과 단일팀 성사 1) 북방정책 배경과 난관 2) 최초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단일팀 구성 3) 1~3차 회담(1990. 11. 29.~1. 30.) 4) 4차 회담(1991. 2. 12.), 단일팀 구성 최종 합의 5) 남북 최초 단일팀 구성과 평가 3.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단일팀 구성 실패 4. 단일팀과 공동주최 논쟁에 관한 소고 1) 단일팀 구성 논쟁 2) 공동주최 논쟁 7장 | 결론 참고문헌 |
---|
다음글 | 남북관계 주요일지 2025년 5월 |
---|---|
이전글 | 2025 통일백서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