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적극적 평화로서의 공존의 가치

상세내역
저자 천경효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1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5 - 106
발행 시기 2019년
키워드 #공존   #문화상대주의   #통합   #권력공유   #북아일랜드   #갈등   #천경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공존은 서로 위해를 가하지 않고 함께 생활의 시공간을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흔히 생각하듯, 공존은 갈등이 해소되고 문제가 해결되어 모두가 평화롭고행복하게 어우러지는 이상적인 상황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실에서 공존은 기회부여, 대표성 보장, 상호 이해와 존중, 협력과 교류 등의 여러 측면과 층위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권력공유나 자치주의는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는 집단 간의 공존을 가능케 하는 장치와 구조의 예이다. 의미 있는 공존을 위해서는 합의와 협정과 같은제도적인 부분 뿐 아니라 다름을 인정하고 차이를 존중하는 의식적인 부분에서도 진전이이루어져야 한다. 민족주의자와 합병주의자 간의 오랜 대립으로 잘 알려진 북아일랜드의갈등상황은 벨파스트 협정에 의해 무력충돌이 일단락되고 권력공유를 통한 공존의 장을마련한 것으로 여겨지나, 아직도 구교와 신교, 민족주의자와 합병주의자들은 철조망과콘크리트 벽으로 명확하게 구분된 거주지에서 서로 분리된 삶을 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공존의 여러 형태를 일련의 스펙트럼으로 볼 때, 이상적인 수준의 평화적 공존을 하나의 지향으로 삼을 수는 있겠으나, 공존의 진정한 가치는 그 지향점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실천의 과정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들어가며

Ⅱ. “우리” vs. “그들 ”: 자문화 중심주의와 문화상대주의

Ⅲ. 공존을 바라보는 시각: 과정적 접근

Ⅳ. 공존의 형태를 결정하는 요인: 통합과 부과

V. 공존의 방식: 공유, 인정, 보상

Ⅵ. 평화의 다른 가치들과 공존의 연관성

Ⅶ. 공존의 실천: 공존의 현실적 사례

Ⅷ. 평화를 향한 공존: 지향에서 실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