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미국 대북담론 구조 연구: 대통령 화행을 중심으로

U.S. Discourse on North Korea through Presidential Speech Acts

상세내역
저자 윤성원
소속 및 직함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발행기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학술지 한국과 국제정치
권호사항 40(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89-231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미국   #대북담론   #구조   #연구   #대통령   #북한   #담론   #북핵   #안보화   #윤성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탈냉전기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적(敵) 영역의 불확실성을 담론적 차원에서 구축한 미국, 그리고 실존적 차원에서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북한의 이야기를 다룬다. 더 정확히는 탈냉전기 미국의 대(對)북한 개념에 대한 분석이다. 탈냉전 30년 미국의 대북담론을 성찰하는 일은 탈냉전의 불확실성을 끝내 극복하지 못한 채 ‘신냉전’을 맞이하는 우리를 살피는 일이다. 본 연구는 안보화 이론을 개념적 기반으로 하여 미국의 대북담론 구조 분석을 진행하고, 조지 H. W. 부시부터 도널드 J. 트럼프 시기까지 대통령 화행 중심의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토대로 한 담론분석을 전개한다. 미국 최고정책결정자들의 화행을 통시적으로 기록, 분석하여 대북담론의 양태를 파악하고, 시기별 북미관계를 규정하는 주요 사건들을 재고함으로써 안보딜레마를 재생산하는 주류이론 시각에서의 탈피를 시도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United States’ construction of uncertainty regarding post-Cold War identity and North Korea’s existential uncertainty. Reflecting on thirty years of U.S. discourse on North Korea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reveals an enduring ‘new Cold War’ era marked by persistent uncertainty. Utilizing securitization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analysis focuses on U.S. discourse toward North Korea, employing content analysis of presidential speeches from George H. W. Bush to Donald J. Trump. By chronologically studying the speech acts of top U.S. policymakers, this analysis encourages a reassessment of mainstream perspectives that perpetuate the security dilemma.
목차
Ⅰ. 서론
Ⅱ. 대북담론 형성
Ⅲ. 대북담론 양태
Ⅳ. 대북담론 재고
Ⅴ.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