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사회는 세계화시대의 분단국가로서 시민교육에 대한 새로운 통일 가치를 지향할 시점에 놓여 있다. 한마디로 기존의 통일 가치를 재검토하는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역사적인 2018년 4월 27일과 5월 27일 남북정상의 만남은 통일로 가는 과정을 서서히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남북 정상의 만남은 시민의 통일 논의의 실현화를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다. 이제 우리 사회의 시민들은 북한 주민의 실체도 파악하고, 평화통일 실현을 위한 능동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가능하게 하는 통일담론이 민주 가치인 자유, 평등, 인권 존중을 통한 사회 구성원인 시민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민주 사회의 시민은 자유와 평등을 사회 속에 구축하는 참여자여야 한다. 그렇기에 통일 사회로의 문제가 해결되는 길은 시민으로 완성될 수 있을 때, 평화 통일의 길이 구축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시민 사회에서 통일교육이 추구하는 내용을 강화하여 평화 통일과 민주적 논의를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