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시민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The Task & Practice of civic unification education in R.O.K.

상세내역
저자 박찬석
소속 및 직함 공주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지 도덕윤리과교육
권호사항 (5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3-107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안보   #시민 통일교육   #평화통일   #보수적 통일교육   #시민   #민주 사회   #박찬석
조회수 2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은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 국면에 있고, 북한의 도발적 행위가 수시로 일어나는 상황에 존재한다. 그 속에서 시민들은 성장하여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통일교육은 시민 통일교육적 관점으로 변화 모색이 요청된다. 즉 시민 통일교육은 남북 갈등을 현실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으로 동시에 파악하면서, 민주적 사회에 알맞은 보수와 진보의 난맥을 정리하는 입장들이다. 이제 시민 통일교육은 중대한 상황 인식에서 시민의 역할이 필요하다. 시민 통일교육 논리를 통해 보수와 진보의 이론가들은 국가 안보의 이해와 평화 통일교육으로의 보다 합리적이며 명확한 원칙을 수렴해 나가야 한다. 새로운 정부는 이전의 보수와 진보 정부와 달리 중도적인 통일논의의 중요성을 잘 파악하고, 남북한 간의 군사적 긴장 완화가 제대로 조성되는 시민 통일교육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제 스스로 시민들이 나서는 분단 현실 타개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시민과 정부가 함께 하는 시민 통일교육적 입장을 전개하고자 한다. 이는 정치적 안정을 통한 보수적 통일교육과 결합하면서 건전한 평화 통일교육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민주 사회 지향이 더욱 의미 있는 평화 통일적 국가를 만들 수 있는 내용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