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대북 인도적 지원과 남북한 마음의 통합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and Integration of the inter-Korean Mind

상세내역
저자 이우영
소속 및 직함 북한대학원대학교
발행기관 심연북한연구소
학술지 현대북한연구
권호사항 17(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4-8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대북 인도적 지원   #접촉지대   #마음체계   #NGO 대북지원   #마음의 통합   #이우영
조회수 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글은 대북 인도적 지원이 어떤 특성을 갖는가를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접촉공간으로서 대북 인도적 지원이 갖는 성격을 검토한 이후에 대북 인도적 지원에 참여한 사람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남북한 주민의 마음의 통합문제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사업이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진 남북한 마음의 통합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인 차원에서는 기본적으로 공여자-수혜자 관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는 남한의 우월의식과 북한의 패배의식이 깔려 있었다. 둘째, 가치의 차원에서는 남북한 마음의 체계가 비교적 조화를 이루는 경향이 있다. 셋째, 사고방식의 경우에는 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남북 간 마음체계 간에 적지 않은 긴장이 조성되었다. 넷째, 대북지원이라는 접촉지대에서 남북한 마음체계의 상호작용의 특성이 비교적 비슷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지만 접촉의 대상에 따른 마음체계 상호작용의 양상이 상대적으로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북한 지원 활동을 하는 NGO의 경우에도 조직단체 별로 차별성이 적지 않았다. 여섯째, 접촉이 반복되면서 남북한 주민들의 마음체계의 변화에 나타났는데 이것도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접촉지대로서 대북지원이 갖는 특성은 남북주민들의 마음체계 상호작용에 근본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분단 이후 지속된 적대적 대결관계와 체제 차이에서 비롯된 마음체계의 이질성에서 비롯된 선입견과 정치적인 차원의 남북관계의 영향력은 대부분의 접촉공간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접촉지대와는 달리 공동으로 이루어야할 사업 목적이 있다는 사실,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접촉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남북한 주민들이 상대에 대한 이해를 적극적으로 하는 집단이라는 사실 그리고 대북지원 실무자와 관련 사업 전문가들이 결합되는 접촉공간이라는 사실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접촉지대로서 NGO 대북지원에서 남북한 주민들의 마음체계의 상호작용은 과거에는 경험하지 못하였던 중요한 현상으로 통일과정 특히 사회통합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심도 있게 대북지원 공간에서의 마음체계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변화과정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북지원에 참여한 남북한 주민들을 모두 조사 분석하여야 하지만 이글에서는 남쪽 참여자들만을 면접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는 존재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대북지원이라는 접촉지대의 북한주민들을 조사하는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