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와 시사점

History and implications of the linguistic and cultural movements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이정복
소속 및 직함 대구대학교
발행기관 배달말학회
학술지 배달말
권호사항 (5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9-191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언어문화 운동   #북한   #한글 전용   #문화어   #말다듬기   #이정복
조회수 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광복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를 개관하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 북한 언어문화 운동을 1964년을 기준으로 삼아, ‘문맹 퇴치 및 한글 전용 운동’과 ‘문화어 운동’의 두 시기로 나누고, 주요 내용을 기술했다. 제3장에서는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특징과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것과 관련지어 남한의 언어문화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생각해 보았다. 이런 논의 과정을 통하여, 북한의 언어문화 운동이 국가적 지원을 받아 줄기차게 전개된 지속적, 정치적, 대규모의 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전체 사회 영역에서 한글 전용을 완전히 정착시키고, 입말과 글말에서의 언어 평등을 이루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한글 전용에 대한 국가의 의지가 강력했고, 말다듬기 운동을 철저하게 진행한 덕분이다. 남한에서도 한글 전용 운동과 말다듬기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아직 한글 전용은 제한적이고, 말다듬기의 성과도 성공적이지 못한 점이 북한과 다르다. 이런 차이가 나타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남한 언어문화 운동의 목표가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문화 사회가 촉진되고 서양 외래어가 급속히 늘어가는 한국의 상황에서, 앞으로도 외래어 순화 등의 말다듬기 운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이 과정에서 ‘언어 평등’이라는 언어문화 운동의 목적을 분명히 세울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