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통일/남북관계

옴니버스 통일교육

상세내역
저자 추병완 , 이범웅 , 김병환 , 변순용 , 조주현 , 박보람
출판연도 2025년 10월 31일
출판사 한국문화사
쪽수 240
키워드 #북한   #남한   #공화주의   #공동체   #통일교육
조회수 7
상세내역
저자 소개
[추병완]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이범웅]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김병환]
서울대학교 교수

[변순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조주현]
국립목표대학교 교수

[박보람]
강원대학교 교수
상세내역
주요내용
이 책 『옴니버스 통일교육』은 춘천교육대학교 통일교육 선도대학 사업단의 1차 연도(2025)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결과물로, 통일교육을 도덕교육의 시각에서 조망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통일교육이 실제 학교 교육에서 가장 체계적으로 구현되는 교과가 도덕 교과임에 착안하여, 국내 윤리교육과 교수 6인이 각자의 학문적 전문성과 관점을 반영한 글을 엮었다. 이범웅 교수는 통일 환경의 내·외적 조건을 분석하여 통일 담론의 현실적 토대를 검토하였고, 김병환 교수는 동양 평화사상의 원류로서 묵자의 겸애·비공 사상을 통해 국제평화 윤리를 재해석하였다. 조주현 교수는 남북한 모두의 국가정체성에 내재된 공화주의 이념을 중심으로 통일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논의하였으며, 변순용 교수는 공동체의 도덕적 책임론을 바탕으로 통일의 정당성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박보람 교수는 국내외 통합교육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교실 기반의 평화적 통일교육 모델을 탐색하였고, 추병완 교수는 평화로운 교실 만들기를 통해 통일 이후 시민사회의 기초 역량을 기르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옴니버스 통일교육』은 다양한 전공과 관점을 아우르며, 통일교육을 이론과 실제의 접점에서 재구성하려는 학제적 실험의 장이자, 평화와 통합의 교육철학을 성찰하게 하는 귀중한 학술적 성과이다.
상세내역
목차
머리말

제1장 통일 환경의 변화
1. 서론
2. 남한 내부의 요인
3. 북한 내부의 요인
4. 남북관계의 변화
5. 대외 환경 요인
6. 결론

제2장 묵자의 평화 사상
1. 비공(非攻)의 근거인 겸애(兼愛)는 ‘보편 사랑’인가?
2. 교상리[交相利, 서로 이롭게 함]와 함께하는 겸애
3. 비공(非攻)의 평화 사상: 묵자는 비전(非戰) 평화주의자인가?
4. 교과서와 EBS 교재의 묵가 사상 내용 검토

제3장 공화주의 이념에 기반한 통일교육
1. 공화주의란 무엇인가?
2. 공화주의 이념과 남북한
3. 바람직한 통일교육을 위한 공화주의의 핵심 요소
4. 맺음말

제4장 통일에 대한 공동체의 도덕적 책임
1. 현대 책임윤리의 특징
2. 공동체의 도덕적 책임에 대한 논의의 의미
3. 공동체의 유형과 그로부터 제기되는 책임의 문제
4. 공동체 자체의 도덕적 책임
5. 공동체의 도덕적 책임

제5장 교실에서 지우는 분단선
-세계의 평화학교, 한국의 통일교실-
1. 서론: 교실에서 시작되는 통일
2. 민족 갈등 지역의 통합교육 사례
3. 한국의 북한이탈청소년 통합교육 사례
4. 세계와 한국 사례의 비교 및 시사점
5. 결론: 통합교육에서 통일교육으로

제6장 통일교육에서 평화로운 교실 만들기
1. 평화란 무엇인가?
2. 평화를 위한 전략
3. 평화교육의 역사, 개념 정의와 유형론
4. 평화로운 교실을 만들기 위한 다섯 가지 전략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