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설야, ‘문예총’ 그리고 항일무장투쟁사
...『설봉산』에서는 1932~1933년 적색농민운동과 항일무장투쟁의 연계를 암시했고, 『력사』에서는 항일무장투쟁이 국내 진공계획의 일단, 즉 ‘조국에의 한 걸음 한 걸음’임을 보였고, 「혈로」에서는 ‘김 장군의 부대’의 ‘함경북도 6도시 진공 계획’이 ‘거룩한 광명’임을 그렸다. 즉, 1930년대 초반 함경도 농민운동의 확대 강화를 다룬 『설봉산』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과 국내 운동이 연결된 것임을 밝히려는 의도였고, 『력사』와 「혈로」는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이 국내 진공 작전을 위한 것임을 천명하는 작업이었다. 그의 이런 창작적 실천은 국내 투쟁과 연계된 항일무장투쟁이나 국내 진공 계획 등의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항일무장투쟁의 모든...
[학술논문] 해방기 좌익 매체의 지도자상과 김일성 형상 -‘수령형상’의 기원과 형성 탐색을 위한 시론(2)
이 글은 해방기 이북 소설에 인물로 등장하는 김일성 형상을 탐색하기 위한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김일성이 (‘북한소설’로 이어지는) 이북 소설에서 인물로 등장하는 최초의 사례(한설야, 「혈로」) 이전에 발표된 남북의 대중매체에서 김일성의 모습을 검토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해방기 이북 신문에서 김일성이 소개된 최초의 기사와 이와 같은 날 이남의 신문에 소개된 다른 귀국 항일투사의 기사 및 이남에서 처음 소개된 김일성 기사를 비교해 보고, 서울에서 발행된 좌익 일간신문 『조선인민보』에 실린 8회에 걸친 연재 기사 「지도자군상」의 일부인 김일성 기사를 다른 7인에 대한 기사들과 비교했다. 이를 통해 당시 이상적인 지도자상으로 인식되었던 요소들이 기사에서의 김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