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임시 교과서와 반공 아동문학: 『전시생활』·『소년기마대』·『새음악』의 반공 텍스트를 중심으로
본고는 한국전쟁기 초등학생 대상의 임시 교과서에 수록된 반공 아동문학의 양상을 살피고, 전후 아동문단의 재편이라는 문학사적 맥락에서 그 의미를 찾아보려고 했다. 문교부가 발행한 『
전시생활』은 아동소설처럼 극화된 이야기 방식을 주로 사용했고, 문교부가 추천하고 인정한 『소년기마대』와 『새음악』 은 초등 노래책으로서 동요에 속했다. 이 텍스트들은 아동문학과의 경계가 불분명할뿐더러 실제 생산자도 아동문학 작가·시인들이었다. ‘교과서 아동문학’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이 텍스트들은 ‘북한정권·인민군·중공오랑캐’를 ‘자유 없는 공산주의’로 규정하고 그와 대립한 ‘남한정권·국군·유엔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