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자치제의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과제와 대안적 모색: 경상남도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문제제기를 통해 이 글에서는 이명박 정부시기에 한정하여 대북정책을 평가하고, 남북협력에서의 개선을 위한 대안적 모색을 전개하고자 하였다. 특히 남북관계의 경색국면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지속적인 채널을 유지하고 발전시켜 온 경상남도의 남북교류협력을 중심으로 평가 및 전망하고자 하였다. 지난 시기의 경험을 통해 지자체와 민간의 교류협력사업 주체들은 다양한 교훈을 경험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별, 단계별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향후의 사업들을 계획하고 대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경상남도의 사례에서와 같이 중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사업들을 진행해야 하지만 여타의 단체들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지자체 또는 민간의 교류협력 사업에 대해 다각적인 인식의 전환이...
[학술논문] 해방기 문화공작대의 의제와 성격
...‘인민을 위한 문화’ ‘문화를 인민에게’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총 4개대로 나뉜 예술인들은 지방민들을 위한 종합예술제를 기획했다. 이 행사는 연극, 영화, 음악, 만담, 시낭송, 이동전람회, 사진전 등 각 분야를 망라한 종합적 예술제였고, 동원된 예술인들만 해도 150여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1947년 6월 30일 제1대가 경상남도로 출발한 것을 시작으로 충청도, 강원도, 경상북도에 파견되어 특히 부산, 대구, 대전 등에서 상당한 관객을 유치하며 성공적인 공연을 펼쳤다. 그러나 계속되는 검열과 테러로 인해 예술제는 수난사로 요약될 만큼 난관에 봉착했고, 미소공위도 사실상 결렬됨으로써 문화공작대는 8월초까지 활동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공작대 활동은 정치사회적 정세 속에서 좌익문화진영이...
[학술논문] 수용소에 갇힌 귀환용사―‘지옥도’ 용초도의 귀환군 집결소와 사상심리전
...‘귀환용사’라고 불렀다. 귀환포로들은 현재까지 잊혀진 존재이거나 한국에서도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 필자는 국군귀환포로들의 정의와 귀환 과정, 귀환군 집결소설치 과정, 귀환포로들의 사상 재교육 속에서 발생한 사건 등을 연구했다. 이들은 북한 내 포로수용소에서 사상 ‘세뇌교육’과 부역혐의를 받아 판문점에서 인천항을 거쳐 경상남도 통영군 한산면 소재 유엔 제1B전쟁포로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이 섬에서 귀환포로들은 미군과 한국군 특무대로부터 강도 높은 사상 검증과 재교육을 받아야 했다. 그 과정에서 일부 귀환포로들은 심문에서 통과되지 못해 ‘의법처리’되었다. 이러한 국군귀환포로들은 ‘지옥도’ 용초도에서 ‘내부의 적’이...
[학위논문] 對北支援事業의 産業構造에 따른 類型別 硏究 : 14개 廣域地方自治團體를 中心으로
...N산업이 5.24 조치 이후 구간에서는 N산업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권역별 빈도 분석 결과를 보면 수도권의 Q산업 영남권의 F산업 호남권의 F산업 기타권의 A산업의 비중이 높았다.셋째 일관성 협업성 복합성의 평가지표 분석결과를 보면 강원도의 연어부화장건설 지원사업 경기도의 당곡리농촌현대화 지원사업과 개풍양묘장조성 지원사업 전라남도의 평양발효콩공장 지원사업 경상남도의 장교리협동농장 지원사업 광주광역시의 배합사료공장자재 지원사업 부산광역시의 평양항생제공장 지원사업 전라북도의 돼지공장신축 지원사업 등이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되었다. 이는 지자체가 어떤 사업을 성공적으로 지속 육성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것이며 동시에 권역별 지자체들 간의 협업의 중요성을 성공사례로 예시한 것이다. 즉 수도권은 Q산업 A산업 N산업을...
[학술논문]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 인식과 교육 요구에 대한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에 대한 인식과 필요한 교육에 대한 요구를 탐색 하는 것이다. 상담학과 학부생의 통일 미래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통일 미래 상담자로서 필요한 교육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A, B시의 상담학과 학부생 10 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FGI는 반구조화된 질문으로 2회에 걸쳐 1시간 ∼ 1시간 30분 동안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 전사, 핵심 단어 찾기, 주요 내용 범주 화, 결과 해석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담학과 학부생은 통일 미래를 대 비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일 미래를 대비한 상담학과 교육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