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적 특성에 부합한 국가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
오늘날 국가위기관리는 군사・비군사분야를 포함하는 포괄안보 개념하에서‘예방-대비-대응-복구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한국의 위기관리체계는 청와대 안보실이 중심이 된 상위체계, 한・미 연합방위체계 및 재난관리체계가 중심이 된하위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안보분야의 위기는 북한 위협, 주변국 위협, 신종 위협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재난분야의 위기는 태풍・홍수・대형사고 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에 드리운 안보 및 재난분야의 위기를 극복하기위한 대안으로 국가위기관리 컨트롤 타워의 기능 구체화 및 권한 강화, 예상되는위기유형에 대한 분석, 위기관련 법령 정비 등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학술논문] 부분동원제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동원은 전시나 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시에 국가가 이용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나 물적 자원, 기타의 제반 자원을 국가의 안전보장에 기여할 목적으로 효율적으로 통제하거나 관리 및 운용하는 국가의 법적 행위이다. 그런데 전쟁 상황은 아니지만, 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외부의 침공 또는 도발로 인하여 이에 대응할 목적으로 특정한 지역에서 특정한 자원을 대상으로 동원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것이 부분동원이다. 한반도에서 부분동원이 필요한 이유는 북한의 국지적 도발에 대비하여 국가위기관리차원과 북한군의 군사전략 대비 차원, 경제적 동원을 위한 방법, 그리고 위기상황 발생시 예비전력의 동원을 통해 융통성 있는 대응능력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필요하다. 한반도에서 부분동원이 필요한 시기는 백령도나
[학술논문] 남북 군사통합에 대비한 국가 및 국방 위기관리체제 발전방안 (위기관리 활동 중 예방과 대비를 중심으로)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군사통합을 위기관리 범주에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군사통합과정에서 겪게 될 위기에 대한 국가차원의 통합이나 대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 이에 본 글에서는 군사통합을 위기관리 범주에 포함시켜야 하는 당위성을 제시하고, 군사통합시 예상되는 국가 및 국방차원의 위기관리 문제를 어떻게 예방하고 대비할 것인가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국가 위기관리체제 변천과정을 통해 예방과 대비 측면보다는 대응과 복구 측면이 강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군사통합에 따른 위기 유형을 북한군 무장해제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면서 각각의 위기 유형에 대한 대비 개념을 예방과 대비 측면에서 언급하였다. 예방적 활동으로는 동북아 및 남북한 간의 군비통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대비적 활동은 법령정비, 조직편성, 훈련...
[학술논문] 북한의 ‘핵 확전 위협 전략’에 대한 국가 위기관리 방향: ‘확전사다리’와 ‘1차공격안정성’을 중심으로
...‘선제공격안정성(First Strike Stability)’ 측면에서 북한의 ‘핵 확전 위협 전략’을 분석하고, 북핵 위기가 고조될 경우 한미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에 따른 위기관리 시나리오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북핵 위기가 고조될 경우 확전 문턱(Escalation Thresholds), 확전 우위(Escalation Dominance)의 차이로 인해서 위기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핵전쟁으로 확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한미의 국가 위기관리 전략은 ‘선제공격안정성’ 기반 전략 및 정책 발전, ‘핵 금기 문턱’을 높이기 위한 국제적 협력 강화, 핵 사용 문턱 아래에서 위기관리 수단 다양화 등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우리나라 비상대비업무 발전 방안 연구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상대비업무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남북한의 관계는 서로 다른 체제로 인해 전쟁의 위협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인기, 핵 개발 및 미사일발사 등을 앞세워 위협을 가하고 있다. 우리는 그동안 북한의 위협에 맞서 비상대비 조직을신설하고 발전시켜 대응해 왔다. 그러나 세월호 사고와 감염병을 겪으면서 재난, 자연재해 등의 비군사적 위협에 대한 대응에 치중한 나머지 비상대비업무는 재난의 하위 개념으로 전락하였다. 현재의 재난안전관리본부는 비상대비업무를 수행하기에 부족하다. 이에 따라서 북한의 안보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대비 업무 발전 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자료에 대한 문헌 조사방법와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