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북한의 합의 파기 사례를 통해 본 <9.19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
...파기에 이르는 일정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 한미의 대북 제재에 대한 대응 수단으로 합의 파기를 활용하였다. 셋째, 합의한 후 개별조항에 대한 문제제기 등을 통해 미이행 조항을 부각시킨 뒤 위반행동을 하였다. 넷째, 6.4합의, 불가침합의 파기선언의 전후에는
군사적 긴장상황에서 무력충돌 위기상황으로 갈등을 점점 더 고조시켰다. 따라서 9.19군사합의상 특정 조항에 대한 위반 행동을 하고 있는 북한은 점차 모든 조항을 위반하는 방향으로 합의 위반을 전면화·노골화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한의 제7차 핵실험 실시 시 한미의 대북제재 조치에 대한 대응 수단의 하나로서
군사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는 9.19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