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학의 전쟁과 행복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
‘행복’은 북한 사회의 이념적ㆍ도덕적 토대를 이루고 있는 가치 중 하나다. 이 논문은 북한에서 강요될 뿐 아니라 공유되는 ‘이상한 행복’의 기원을 1950년대로 소급하고, ‘사회주의 건설 투쟁에서의 행복’과 ‘사회주의 건설 이후의 행복’이 갈등ㆍ공존하는 가운데 점차 전자가 우세종이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한국전쟁기의 남북한 삐라를 비교하면서 ‘행복’의 관념과 정서가 선전전ㆍ심리전에서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고, 이어 1950년대 북한 문학에서 ‘행복’이 표제화된 소설(황건의 「행복」 등)과 소련 문학 번역작 중 ‘행복’을 표제로 삼은 소설(빠블렌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