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섬은 어떤 모습일까?
섬 전문가 이재언 ⌜북한의 섬⌟(전 2권) 출간
북한 지역 1,045개 섬 중 128개 유인도 다뤄
섬은 고립되어 있는 지리적 특수성 때문에 민족 문화의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460여 개의 유인도가 있지만 고령화와 이촌향도 등으로 무인도화되고 육지와 가까운 곳은 연륙이 되면서 섬의 문화 원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북한의 섬이다. 북한에는 1,045개의 섬이 있고, 그중 128개는 유인도다. 이러한 북한의 섬을 조명한 책이 30일 출간됐다. 섬 탐험가 이재언 소장(광운대학교 해양섬정보연구소)이 쓴 ⌜북한의 섬⌟(전 2권)...
[지리/관광]
...섬은 어떤 모습일까?
섬 전문가 이재언 ⌜북한의 섬⌟(전 2권) 출간
북한 지역 1,045개 섬 중 128개 유인도 다뤄
섬은 고립되어 있는 지리적 특수성 때문에 민족 문화의 원형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460여 개의 유인도가 있지만 고령화와 이촌향도 등으로 무인도화되고 육지와 가까운 곳은 연륙이 되면서 섬의 문화 원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북한의 섬이다. 북한에는 1,045개의 섬이 있고, 그중 128개는 유인도다. 이러한 북한의 섬을 조명한 책이 30일 출간됐다. 섬 탐험가 이재언 소장(광운대학교 해양섬정보연구소)이 쓴 ⌜북한의 섬⌟(전 2권)...
[법/인권]
...중기적으로는 북한 당국을 상대로 이산가족‧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문제 협의를 의한 남북 당국 간 실무 차원의 대화협의체에 응할 것을 지속적으로 촉구하여야 한다. 이 문제들이 국민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현황 및 실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안의 일환으로 국민 상대의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할 경우 국민들이 이산가족‧납북자‧억류자‧국군포로 현황과 실태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통일교육 기본계획에도 계속해서 이 문제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장기 과제로는 이산1세대 사후 이산가족기념사업의 체계적 추진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기념사업 관련 다른 법제를 참고로 기념관 건립, 자료 수집‧보존‧관리‧전시 등을 법제화하는 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법/인권]
이 책은 북한인권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사회/문화]
...‘북한인권법’의 핵심 내용은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바로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설치’와 ‘북한인권재단 설립’이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북한정권이 자행하고 있는 인권침해 사실들을 대한민국 정부차원에서 법무부가 기록, 보존하는 부서를 말한다. 북한인권재단은 인권 개선 활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재단이다. 북한정권의 인권침해를 사전에 억제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한민국이 정부 차원에서 북한정권의 인권침해 행위를 샅샅이 기록하고 있음을 북한정권에 알리고 실행해야 한다. 북한정권이 자행하는 인권침해가 대한민국 법무부에 의해서 보고·기록·보존되며 이것이 이후 통일 청산작업에 사용된다는 사실을 북한정권이 인지할 때, 북한정권은 지금처럼...
[학술논문] 세계문화유산 등재 고구려벽화고분의 현황과 과제
... 전문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세계유산 등재 고구려 벽화고분은 다른 유적과 달리 보존 환경의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때문에 현황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노출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고 시행될 필요가 있다. 국제적 공조가 필요한 것도 이런 까닭이다. 연구 post의 설립, 국제적 네트워크 구성, 보존 및 연구정보의 수집과 공유 등의 조치들이 요구된다. 고구려 벽화고분 보존 환경의 유지 관리와 동시에 추진, 시행될 필요가 있는 것은 유적 현상에 대한기록 보존 차원의 활동과 이를 통해 확보되는 학술정보의 축적과 활용이다. 기록 보존을 위해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유적 촬영, 벽화 모사 등의 활동이다. 북한의 경우 벽화 모사가 예술장르로 성립하여 모사화 전공자들이 세대별로 다수 양성되었지만...
[학술논문] 북한의 『무예도보통지』 연구 동향
...둘째, 북한 『무예도보통지』 연구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교시 내용을 제시한 후, 저자의 『무예도보통지』와 관련된 견해를 함축적으로 설명하였다. 우리나라 『무예도보통지』 연구와 다른 점은 선행연구의 검토가 생략되었다. 셋째, 북한의 학자들은 모두 조선시대의 전통성을 이어온 문화계승과 보존의 차원에서 『무예도보통지』를 문화재보로 인식하고 있다. 『무예도보통지』의 대표적인 연구자로는 조희승을 꼽을 수 있다. 넷째, 북한영화 「평양날파람」은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권법이 택견과 태권도로 연결되어 전수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향후 『무예도보통지』 연구는 남북한 공동연구를 통하여 기록유산과 무형유산의 문화재로 집적하여, 세계인류무형유산 또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등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월경(越境)과 전향(轉向) 사이 - 박현숙 희곡 <사랑을 찾아서>(1960) 연구
박현숙의 희곡 <사랑을 찾아서>(『조선일보』, 1960.1.13~1.28)는 남과 북을 세 번 월경한 주인공 정애리와 사상을 회의하는 인민군 오영식을 중심으로 체제 ‘월경’에 대한 공포와 ‘전향’의 억압을 극화한다. 정애리의 월경 동인인 ‘순수한 사랑’은 자기 보존의 욕망, ‘생존’을 위한 욕망과 이어진다. 국가체제의 폭력, 내적 자유의 억압, 체제의 전향 강요에 대한 비판적 의식은 월경인 정애리와 경계인 오영식에게 가해지는 체제의 폭력을 다룬 4장부터 심화된다. 1장과 5장에 배치된 법정 장면에서, ‘월경인’ 정애리는 체제에 의해 잠재적 ‘죄인’으로 다루어지며 민규, 민...
[학술논문] 북한 형법상 반국가 및 반민족범죄에 관한 연구
반국가범죄를 다른 말로 반혁명범죄, 정치적 범죄, 적대범죄라고 부른다. 북한 형법에서 이데올로기 색채가 가장 강한 장이다. 대한민국 형법의 내란 및 외환의 죄, 국가보안법위반죄에 해당한다. 형법 제3장 반국가 및 반민족범죄는 제60조부터 제73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3절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절 반국가범죄, 제2절 반민족범죄, 제3절 반국가 및 반민족 범죄에 대한 은닉 및 불신고, 방임죄 등이다. 대체로 이들 내용들은 추상적이고 포괄적인 형태로 규정되어 있다. 그래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행위가 처벌규정에 해당하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제3장 전체 14개 조문 중 형법 제60조 국가전복음모죄, 형법 제61조 테로죄, 형법 제63조 조국반역죄, 형법 제65조 파괴, 암해죄, 형법 제68조 민족반역죄 등 5개 조문에서
[학술논문]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방안
... ②원 상태로의 보존(Integrity). ③위협(Threat), ④관리 계획(Management Plan)이다. 넷째,『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과제는 다음과 같다. ①『 무예도보통지』의 서지학적 연구를 통한 귀중본 또는 보물 지정이 필요하다. ②『 무예도보통지』에 대한 영문 번역본 사업이 필요하다. ③『 무예도보통지』유네스코 기록유산 등재추진위원회가 준비되어야 한다. ④『 무예도보통지』등재를 위한 정부와 민간 관련 부처, 학계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이루어야 한다. ⑤『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유네스코가 지향하는 등재기준과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⑥『 무예도보통지』 세계기록유산과 세계무형유산 등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무예도보통지』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제를 보완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