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의 문학적 통합과 북한문학으로서의 재월북 작가 연구
Korea writers who choose North Korea after emancipa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Especially the poet Baik-suk and Novelist Han-Sulya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spent so long years in North Korea and can not write freely. The poet Imhwa and Novelist Lee-taejun spent so short time in North Korea after escaping from South Korea. So, they are not important in contrast
[학술논문] 2・28민주운동과 탈냉전의 흔적
...한미경제협정과 관련해 미국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했다. 둘째,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북한과 남북통일에 관해 민족적이고 평화적인 시각을 간직하고 있었다. 냉전논리 안에서는 북한을 같은 민족으로 보기 어렵고, 박멸해야 할 적으로 인식했을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은 냉전논리에서 벗어나 북한을 우리와 동일한 민족으로 인식했고, 평화적 통일의 한 주체로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은 한국전쟁에 관해 인도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냉전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면, 한국전쟁과 관련한 부정적인 인식과 전쟁의 비극에 대한 인도주의적 관점을 갖기 어려웠을 것이다. 하지만 학생들은 전쟁의 비참함을 드러내고 무기 사용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탈냉전 의식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