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복지선교 연구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t present the number of immigrants who enter Korea rapidly increas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n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Korea has been a country which transfers the laborers into the construction of Middle East countries and students to study-abroad program all over the world until the early 1990 years. However the country turns into an organizational structure
[학술논문] 문화적거리가 문화예술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충격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2007년 부터 급증하는 제3국 출신의 새터민 청소년의 문제가 새터민 청소년에 대한 범주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는 것에 착안 하였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다(多)문화 관점으로서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무엇이며 두 집단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방법으로 정성적 진단연구 반 구조화 질문체계 토대로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두 집단별 문화충격에 대한 차이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로서 첫째로, 현 정부 역시 두 집단의 차이를 인식하고는 있지만, 두 집단의 세부적 특성과 차이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집단 모두 ‘새터민 청소년’이라 불리지만, 실제적으로 성장한 국가와 입국한 국가의 문화가 상이하기
[학술논문] 이주배경 청소년에 관한 질적 연구 동향: 국내 및 북미 학술지 게재 논문 분석(2003-2015)
본 연구의 목적은 2003-2015년 중 국내 및 북미 학술지에 게재된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질적 연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총 78편의 학술지 논문을 국내와 북미로 구분하여 발표 연대, 학술지의 학문 분야, 연구 대상, 연구 접근법,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주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및 북미 이주배경 청소년 관련 질적 연구는 2008년 이후 급속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에서는 중도입국 청소년과 북한이탈 청소년이, 국외에서는 이주배경 청소년 일반이 주요 연구 대상이었다. 셋째, 국내는 사례연구, CQR, 근거이론 접근, 현상학 등 연구 접근법이 비교적 고루 분포된 반면 북미 연구는 CQR과 근거이론 접근에 집중된 경향이 나타났다.
[학술논문] 다문화정책대상자 개념 정의와 변동에 관한 연구: 광역지방의회 회의록 분석을 중심으로
...2006년 이후 다문화가족 또는 다문화가정 개념이 도입되면서 확산되었 다. 이후 체류외국인은 외국인정책, 외국인노동자는 노동정책, 북한이탈주민은 통일정 책의 일부로서 다문화정책에 포함되었다. 미등록외국인노동자 자녀는 다문화정책대상 자로 포함되어 있다. 망명자 및 자녀는 다문화정책대상자이나 정책 수요는 미비하다. 2006-2008년 시기 이전 논의는 결혼이민자보다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하여 극히 적게 이루어졌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적 관심은 2003년 이후는 늘어났으나 2012년 이후 줄어들고 있다. 최근에는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가정 개념이 서로 다른 맥락에서 사 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다문화아동, 다문화학생, 다문화청소년,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정책적 관심은 2010년 이후 늘어났으나 현재는 늘지 않고 있다.
[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연구동향
...셋째, 관련변인별측면에서, 크게 개인적 특성, 학교 및 기관, 가정 및 부모, 지역사회 및 국가로 나누었다. 그중 다문화 청소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연구에서 주로 사회와 개인 간의 관계, 인간관계인 부모와의 관계, 자기개념들을 다루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청소년 우울에 대한 연구 방향과 제안을 밝혔다. 결론 첫째, 국내출신, 중도입국, 북한출신 청소년들은 모두 다문화 청소년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각각 다른 속성과 성향들이 가지고있다. 다문화 청소년 우울에 대해 더 구체적인 부분을 살펴보려면 질적연구가 적절하다. 둘째, 시간과 공간에 억제 받지 않은 패널자료의 장점때문에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많은 연구가 패널자료로 연구되었고, 패널자료에 많이 의존하는 경향이 보인다. 패널자료에서의 시효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