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관계사의 분석 수준과 주요 의제
이 글은 지난 시기의 남북관계로부터 어떠한 시사점과 교훈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 두 분단국의 상호대면, 동북아관계 속의 남북관계, 그리고 국내정치와 남북관계의 연관 수준에서 몇 가지 의제를 중심으로 시론적으로나마 논의해보려는 시도이다. 세 수준에서 남북관계사를 살펴보는 것은 남북관계가 두 분단국의 상호대면뿐만 아니라, 국제환경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관계와 남북한 국내정치가 제공하는 공간과 압력 속에서 작동․전개되기 때문이다. 한편 70여 년을 맞고 있는 남북관계사 전체를 본격적으로 조망하여 교훈을 도출하는 시도와 작업 역시 필요하다. 그동안의 남북관계는 냉전기 적대와 대립 일변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으나, 완전한 화해․협력으로 이행하지 못한 채 ‘짧은 화해 뒤의 긴 대립 국면’이 지속되고...
[학술논문] 북·중 경제 관계와 대북제재: 관리를 위한 제재의 딜레마
...관리하는 전략을 지속하고 있다. 역내 안정을 중시하는 중국의 관리는 오랜 북·중 관계와 중국 동북지방 상황, 미국과의 경쟁, 한·미·일 공조 견제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경제제재는 관리의 일부로서 획기적 변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2000년대 후반부터 북한의 경제적인 대중 의존이 크게 심화되었음에도 북핵과 같은 북한의 정치적 결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특징도 있다. 한국이 대북제재 기조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중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나, 최근 사드 배치 문제 등 중국과의 공조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의 태도변화가 최우선 과제임에 공감하며 중국과의 전략적 관계를 발전시키고, 동북아 관계와 대북전략에 있어서 상호신뢰를 높이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학술논문] 이란·미국간 정치갈등과경제제재 조건: 트럼프정부의전략적 함의를 중심으로
...개발에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이란 핵개발 협의안 타결 이후를 중심으로 이란과 미국 양국 관계의 조건에 대하여 다면적으로 평가하고, 예측 및 시사점을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II 장에서는 미국과 이란의 갈등을 중심으로 중동에서 미국의 정책 변화에 대한 학술적 담론에 대한 조명과 갈등의배경을 기술하고, III장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대이란 제재강화 과정 및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IV장에서는 미국과 이란의 경제 협력 조건 및대이란 제재강화 가능성 및 전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V 장에서는 이란과 미국 사이의 갈등과 협력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중동지역에 대한 장기적 예측을 시도하여, 동북아 관계의 함의를 마련하고, 지역연구의 새로운 학술적 접근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