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넌 포로다" "배 고파?"... 우크라군, 북한군 생포 대비 한국어 책자 배포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생포 시 사용할 한국어 대화 매뉴얼을 병사들에게 학습시키고 있다고 영국 일간 더타임스가 6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뉴스] ‘무기 버려!’ ‘배고파?’…“우크라軍, 북한군 대비 매뉴얼 제작”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과 만나거나 이들을 생포할 경우를 대비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번역 문서가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왔다.
[뉴스] [단독]대북정찰 핵심자산 ‘백두-금강’ 기술 털렸다
최근 대형 방산 기업의 협력 업체가 해킹 당해 우리 군 핵심 대북 공중정찰자산인 ‘백두·금강’ 정찰기 관련 기술자료들이 상당수 유출됐고 우리 정부는 북한을 해킹 주체로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업체는 군 장비 운용 및 정비 매뉴얼 등이 담긴 교범을 제작하는 곳인 만큼, 이번 해킹으로 백두·금강 정찰기의 기술 자료, 운용·정비 관련 내용 등이 북한에 유출됐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 Yes, North Korea is preparing for war — in Ukraine and the Middle East
...by North Korean dictator Kim Jong Un is leading many in Washington to speculate that he is preparing for waro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re’s another, more plausible explanation for the despot’s behavior — that he is focused on helping his friends...
[학술논문] 정보보안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해외의 관련규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상황으로 인해 사이버공간은 새로운 전쟁터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사이버전쟁은 침입상황이나 피해 등이 즉시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히려 일반적인 전쟁보다 그 피해가 심각할 수도 있다. 탈린메뉴얼 탄생의 계기가 되었던 최초의 사이버전쟁 이후 각국은 정보보안에 대한 경각심을 새롭게 자각하고 정부기관 간의 정보보안 수준에 대한 최소한의 기준이나 관련 사건의 발생 시에 대응방안 등에 대해 구체적이며 체계화된 대응전략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가차원의 정보보안에 관한 구체적인 법률이나 매뉴얼 등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대통령령이나 훈령 등을 통해 정보보안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고, 국가정보원이 독점적인 권한을 행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보안에 관한 사항을 국가정보원...
[학술논문] 북한의 재난발생에 따른 남한의 대응에 관한 기초 연구
...이념적인 접근이 아닌 공동의 재난대응이라는 차원에서 북한의 재난개념과 발생특성을 알아보았다. 북한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자연재난, 사회재난이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에 대한 개념은 분명하게 드러나 있지 않은 상태이며, 이에 대한 재난관리체계, 법제도 등도 상당히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북한의 재난관리체계와 남한의 재난대응 및 지원 현황을 검토하여 북한 재난 발생시 남한의 대응방안을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북한재난 발생 시 남한의 대응조직체계의 역할 정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대응 및 지원절차 모델이 구축되어야 하며 북한의 피해상황을 고려한 지원 매뉴얼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국제기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피해지역 구호물품의 전달 등 대응체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 공격(Cyber attack)과 국제적 대응
...국제법적 규범이 완비되지 않았다. UN차원에서도 각 정부로부터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정부 전문가집단(GGE) 기구를 통하여 국제적 사이버조약을 만들고자 시도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이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국제분쟁을 방지하고, 사이버 범죄예방과 조사를 위하여 국제적 조약을 만들고 있다. 신뢰와 보안구축방법(CSBMs), 사이버 범죄협약, 탈린 매뉴얼 등을 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약들에 대하여 중국과 러시아, 아시아권 국가들은 이해관계를 달리하여 가입을 거부하거나,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국제적인 공동대응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위권적 차원에서 자국의 사이버 능력에 기반하여 비례적인 대응공격이 가능할 것이다. 북한의 사이버 공격에 대한...
[학술논문]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진단 평가
...난이도 차이를 바탕으로 국어 능력을 분석한 결과, 북한 이탈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해 어려워하는 영역은 문법 인식 능력, 문학 지식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평가 문항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 영역이다. 반대로 북한 이탈 학생은 기본적인 모어 능력, 사실적 독해 능력에서 일반 학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 도출한 북한 이탈 고등학생의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첫째,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어휘의 차이 및 문법 차이, 그리고 문학 작품을 목록화 한 교재 개발 둘째, 비판적 읽기 교육 및 민주적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 셋째, 한국에서의 평가가 생애 주기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평가 제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문항에 대한 이해를 위한 매뉴얼 개발과 함께 평가 실습 교육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국제법상 북한정권 붕괴 시 국군의 통일을 위한 북한지역 진입의 합법적 방안 선정 검토
...여부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국제연합에 의한 집단적 조치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를 요하고 동 결의에는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적용된다. 대한민국 국군이 북한정권 붕괴에의 개입은 중국 대표와 러시아 대표의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 확실시 되므로 국군의 국제연합의 집단적 조치에의 참여는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없는 것이다. 한편, 국제연합군 사령관에게 통일, 독립, 민주정부의 수립을 위해 북진을 인가한 “총회의 결의 제167(v)호”에 근거하여 국제연합군사령관의 작전통제 하에 국제연합의 이름으로국군이 북한지역에 진입하는 것은 가능하다. 북한정권이 붕괴되게 되었을 때, 국제연합군사령관의 통제 하에 북진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매뉴얼을 작성하여 사전에 통일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