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폭 투하를 막아라 ― 한국전쟁기 북일 평화운동의 전개와 의미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collaboration of the systematic peace efforts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concurrent international peace movements. The North Koreans claimed that the Korean War was not an aggressive invasion but instead a ‘homeland emancipation war’ by the decolonized in order to recapture their native territory
[학술논문] 원자력과 평화주의 ― 일본과 한국의 경우 ―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의한 위험이나 공포가 없는 상태를 포괄하지 못한다. 그래서 원자력의군사적 이용에 의한 핵재앙(원폭)뿐만 아니라 평화적 이용에 의한 핵재앙(원발사고)으로부터 자유로운 평화적 생존을 평화주의의 보호영역에 포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핵재앙 국가인 일본의 경우를 사례로 하여, 원자력의 군사적 이용의 위헌성을 지적하였던 반핵운동, 최근 고양되고 있는 평화적 이용의 위헌성을 지적하고 있는 탈원전운동을 평화주의와 평화주의의 인권론적 표현인 평화권의 개념을 가지고 그 배경과 전개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한반도 평화와 대비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원자력의 군사적 이용과 평화적 이용은 한 세트로 빌트인 된 것으로 모두가 평화적 생존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학술논문] 6․25전쟁 이전 북한의 평화운동
...이전부터 세계평화운동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평화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북한은 1949년 3월 개최된 평화옹호전국연합대회의 준비를 시발로 전국 각지에서 평화옹호운동을 조직하기 시작했고, 4월에 개최되는 파리 평화옹호세계대회에 대표단을 파견함으로써 세계평화옹호운동에 동참했다. 전쟁 이전 북한 사회에서 평화운동은 국제사회의 평화옹호운동과 달리 반전운동이나 반핵운동의 일환으로 강조되기보다 통일운동의 대중적 실천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북한 사회에서 평화운동은 대중들에게 정부의 통일방침을 교육하고 선전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자 동시에 북한 사회의 일상적 활동을 통일운동과 연결시키는 역할을 했다. 평화운동은 이를 통해서 대중들의 관심과 역량을 통일운동으로 결집해내고, 통일운동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저변을 확충하는...
[학술논문] 1980년대 리영희의 핵 인식과 반핵 - 한반도의 비핵지대화, 핵 불감증 비판, 군사 주권의 회복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면서 1980년대 초중반 미·소의 핵군비 경쟁이 극심하게 전개된다. 이에 따라 1980년대는 인류사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반전·반핵 운동이 활발했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세계적인 반핵운동의 흐름 속에서 분단-정전국가인 한국은 어떤 입장을 취했는가. 남과 북이 대치하고 반공국가인 미국의 주한미군이 주둔하며 군부정권이 지배하는 남한에서 반핵은 반미·친북으로 간주될 우려가 있었다. 실제로 반미 및 반핵의 목소리는 1980년대 중후반 즈음 되어서야 조금씩 표출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반핵운동이 미약했지만 리영희처럼 반전과 반핵을 주장하는 반핵운동가, 지식인이 존재했다. 그가 주장하는 반핵은 무엇이었을까. 이 글은 시대와 정세의 변화에 따라 재구성되는 리영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