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 연구
...통일공감대 형성과 같은 선행되어야 할 합리적 준비가 있다는 인식이다. 유형2는 ‘적극적 확장론’으로서, 대한민국의 선진국 도약을 위해 대한민국 주도의 통일을 지지하는 적극적이고 확장적인 인식을 의미한다. 유형3은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하지 않는 한 북한과 통일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으로서,통일의 조건에 대한 젊은 세대의 보수적 인식을 나타낸다. 유형4는 ‘기능주의적 좌파론’으로서, 남북 사이에 전쟁을 없애기 위해 통일이 필요하다고 보며, 큰 부담이 없다는 전제하에 통일을 지지하는 입장으로서 통일에 대한 기능주의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유형4의 통일인식은 또한 대북 삐라 살포, 종북세력 제거, 통일논의의 전제로서 북한의 핵무기 포기, 대한민국 주도 통일...
[학술논문] 한국교회의 통일운동과 평화통일을 위한 교회의 역할: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지금도 휴전선에서는 남북한의 군인들이 대치 중인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 에서 우리는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하여 수많은 노력을 했었다. 그러나 엄밀 히 말해서 1990년대 이전 남북한의 통일론은 자신의 정당성과 체제우월을 내세우기 위한 도구로 종종 사용되었다. 1990년대 초 국제 사회가 변화되기 시작하면서 우리 정부는 능동적인 자세로 통일에 임해 왔었다. 보수적 정권 에서는 대북 강경책을 유지하였고 진보적 정권에서는 주로 대북 유화책을 사용해 왔었던 것이 사실이다. 1990년대 이전 주로 보수주의 교회는 북한 선 교를 중심으로 한 통일운동을 하였던 반면에, 진보주의 교회는 북한교회와 의 직접적인 대화를 추구하고 북한정권에 유화적인 자세를 취해왔었다. 그 러나 1990년대 이후 보수주의 교회와 진보주의 교회에서는...
[학술논문] 시민 통일교육의 현황과 과제
...통일교육은 시민 통일교육적 관점으로 변화 모색이 요청된다. 즉 시민 통일교육은 남북 갈등을 현실적 관점과 대안적 관점으로 동시에 파악하면서, 민주적 사회에 알맞은 보수와 진보의 난맥을 정리하는 입장들이다. 이제 시민 통일교육은 중대한 상황 인식에서 시민의 역할이 필요하다. 시민 통일교육 논리를 통해 보수와 진보의 이론가들은 국가 안보의 이해와 평화 통일교육으로의 보다 합리적이며 명확한 원칙을 수렴해 나가야 한다. 새로운 정부는 이전의 보수와 진보 정부와 달리 중도적인 통일논의의 중요성을 잘 파악하고, 남북한 간의 군사적 긴장 완화가 제대로 조성되는 시민 통일교육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제 스스로 시민들이 나서는 분단 현실 타개적 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시민과 정부가 함께 하는 시민 통일교육적...
[학위논문] 한국전쟁기에 중국어로 번역된 북한문학 연구
...국민들의 북한인식도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정치 관심도 집단에서 북한인지도가 높은 경향성을 보이며 반대로 낮은 정치 관심도 집단에서 북한인지도가 낮은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치사회적 성향’에 의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북한인식도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진보적 정치사회적 성향 집단에서 북한인지도가 높은 경향성을 보이며 반대로 보수적 정치사회적 성향 집단에서 북한인지도가 낮은 경향성을 보여준다.‘북한지수’ 측정과정은 정치 경제 사회․문화영역으로 나누고 각 문항은 정치 분야 16개 문항 경제 분야 12개 문항 사회․문화 분야 22개 문항으로 총 5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세 영역별 질문문항을 각 100점으로 설정하여 정치인식지표 1600점 경제인식지표 1200점...
[학술논문] 한국 대학생의 정치의식과 능력주의가 통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지지도’에 대한 기초통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경험분석 결과, 대학생들은 보수적 정치 성향과 능력주의적 신념이 강할수록 통일의 필요성에 반대하며, 통일 지지도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한반도 국가 효능에 대한 의식이 높을수록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지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대한민국 국가 효능이 높을수록 통일 지지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치 성향, 능력주의와 통일의 필요성, 통일 지지도 사이에 유의한 성별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 배태된 대학생의 민족 인식을 한반도 전체로 확장하고 남북한 협력의 긍정적 영향을 강조하는 통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