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분동원제도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등 북한군의 국지적 도발로 국지전이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아 후방지역에 대규모의 무장공비의 침투·도발하였을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된 국지적 충돌이 전면적 충돌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나 사태의 추이를 좀 더 지켜보아야 할 때 부분동원을 통하여 대비할 필요도 있다. 부분동원 제도가 도입되면 군사적인 면에서 평시 국지도발 등 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할 시 위협 극복에 필요한 맞춤식 긴요 전력을 조기에 동원하여 적시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 경제적인 차원에서는 상황 극복에 필요한 특정자원의 일부만을 동원함으로써 총동원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대규모의 인적·물적 자원 동원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 및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대비에도 불구하고...
[학위논문] 남북한 비교를 통한 한국군 예비전력 발전방향 연구 : 동원체계와 예비전력부대 역량을 중심으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들은 안보와 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면서 유사시 상비전력과 예비전력의 조화로운 운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전시 군사력의 상당부분은 동원된 예비전력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은 가용한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단기간 내에 총동원할 수 있는 신속동원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4∼6개월 간 전쟁 수행이 가능한 비축물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한국은 예비전력의 중요성은 인식하면서도 풍부한 자원을 활용하여 어떻게 대북 우위의 예비전력을 갖출 것인가에 대한 노력은 부족하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아울러 국방혁신 추진에 따른 부대 수 감축과 청년 인구절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