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경제관계 확대와 정치적 분쟁의 인과성 분석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북한은 외화획득과 경제적 이익을 얻는 win-win사업이다. 그리고 통일이 되었을 때 통일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남북한 간 오랜 기간 단절로 인한 이질적 측면들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 개성공단은 한 차례 중단된 적이 있지만 군사・정치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잘 운영되고 있다. 남북한경제교류협력은 정경분리원칙에 의해서 더욱더 성장하여야하지만 그러나 남북한경제교류협력이 무조건적으로 남북한 간의 분쟁을 감소시키지는 않는 것이다. 이는 지난 60년간 북한의 끊임없는 도발에서도 알 수 있다. 남북한경제교류협력이 평화효과를 나타내기위해서는 수학적 분석에서와 같이 교역과 분쟁은 逆의 관계가 되어야한다. 남북한경제교류협력은 김 정은을 비롯한 북한지도층이 남한정부의 경제제재로...
[학술논문] 평화통일 지연에 따른 남북한 경제의 귀결
...병진과 같이 경제운용의 기본방향이 지나치게 군사력강화에 경도된 것이 북한경제의 오늘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한반도의 평화통일이 지연되어 북한이 지속적으로 현 체제를 유지할 경우, 북한경제의 낙후성 지속과 대중국 종속 심화은 계속될 것이며, 한국경제의 재도약에도 크나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북한이 하루라도 빨리 자본주의체제로 전환되어져야 하며, 경제개방을 통해 대중국 경제의존도를 완화시키고, 평화적인 남북통일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북한의 체제전환을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평화통일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남북당국이 정경분리 원칙에 입각해서 남북대화와 남북경제협력을 실현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학위논문] 南北韓 統一政策에 관한 硏究
...이론으로서 機能主義的 統合理論은 이미 1970년대 초반부터 남한의 統一政策理論의 틀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제5공화국의 ‘民族和合民主統一方案’이나 제6공화국의 ‘韓民族共同體統一方案’도 機能主義理論에 바탕을 두고 있고, ‘韓民族共同體統一方案’에 바탕을 둔 김영삼정부의 3段階 3基調 統一方案, 政經分離原則에 의한 대북포용정책 이른바 햇볕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김대중정부도 결국 이러한 理論的 範疇에 포함된다.
한편, 北韓의 통일정책은 政治的 분야에서의 일괄적 妥結이 先行되면 다른 모든 분야의 문제는 자동적으로 해결된다는 聯邦主義的 통합이론을 展開하고 있다. 즉 북한은 1960년대 ‘南北聯邦制’를 제시하였고. 1970년대는...
[학술논문] 중국과 북한의 종교정책에 대한 선교학적 성찰
...전망하는데 있어서 비교해 볼 수 있는 대상은 중국의 종교정책이다. 중국의 개방적 종교정책은 등소평과 강택민에 이어 현 시진핑 정부로 이어지며 발전해 왔는데, 현재 시진핑 정부의 종교정책은 2018년 2월에 발효된 ‘종교사무조례’에 잘 나타나 있다. 중국 정부가 바라는 대로 교회가 중국적 특색을 가진 교회로 정착되려면 종교자유와 정교분리 원칙과 같은 ‘국가와 교회’ 관계의 원칙이 올바르게 정립되어야 한다. 교회는 종교의 세속화, 자본주의화, 사유화, 정치화 등 중국정부가 우려하는 방향으로 빗나가지 않아야 하고, 국가 곧 중국정부는 교회가 우려하는 종교에 대한 불신과 무법적 강압 자세를 탈피해야 한다. 중국에서의 ‘교회와 국가’ 사이의 바른 관계 형성과정은...
[학술논문] 중국의 새로운 공적개발원조 패러다임을 활용한 북한 법제정비 지원 방안 연구
...‘AIIB’를 북한의 기초인프라 조성에 필요한 경제적 지원으로 활용하면서 ‘원조수혜국의 특수성’에 근거한 기술원조와 함께 관련 입법 활동을 공적개발원조 초기에 추진할 수 있도록 법제정비지원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정부의 북한에 대한 공적개발원조도 단순한 경제원조에 그치지 않고 ‘정경분리의 원칙’에 근거하여 북한의 체제전환을 위해 정치ㆍ경제ㆍ문화ㆍ법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꾸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무엇보다 선진국 및 국제기구와 국제금융기관과 필요한 조치를 마련하는 과정에서 북한에 대한 법제정비 지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북한의 우방국인 중국의 ‘일대일로(一带一路) 정책’과 ‘AIIB’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