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undergraduates using German and French Commercial Movies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단순히 교수-학습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상대성을 이해시키고 다문화 (또는 상호문화) 감수성을 증진시키는 교육에 상업영화를 적용시키는 것은 독창적이고 통합적인 상호문화교육의 장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문자텍스트에 주로 의존했던 전통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유학생 등과 같은 이질적인 문화구성원들의 유입으로 인해 여러 사회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독일과 프랑스의 상업영화를 이용한 대학생용 상호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이 다문화사회로 진입단계에 한국사회를 보다 조화로운 사회로 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이런 교수-학습...
[학술논문] 2000년대 한국 대중영화를 통해 바라본 사회․정치적 담론과 미디어적 현상 연구
...천만 관객 동원과 한국형 블록버스터의 성공에 힘입어 산업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의 소재로 남북한 분단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역사, 정치, 사회문제 등의 다양한 소재가 다루어지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도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영화산업의 외형적 규모도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다양한 원인이 존재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 상업영화의 발전은 문화소비로서의 대중문화 속성과 다양한 대중의 속성을 파악하여 만든 웰 메이드(well made)영화 그리고 이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미디어적 현상이 주원인일 것이다. 한국 대중영화가 영화 시장에서 확고한 위치를 점하며 자연스럽게 미디어 매체의 관심을 받게 되면서 많은 담론들이 생성되고 있다. 또한 대중영화의 파급력을 인지한 미디어 매체와 소셜...
[학술논문] 초창기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제작과정 연구 : <쉬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쉬리>의 도심 총격 액션이나 특수효과는 한국영화의 기술적 진화를 보여주었고, 북한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그리던 기존의 입장에서변화하여 인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등 흥행과 완성도 면에서 진정한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의 시초라 불러도 손색이 없는 작품이 되었다. 한국형블록버스터의 탄생과정은 한국영화의 획기적인 변화를 위한도전과 성취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점이다. 한국형블록버스터가 탄생한지 20년이 지난 현재, 한국의 상업영화는 종전의 성공 공식을 기계적으로 답습한 영화를 양산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제 한국영화계도 장르영화를 활성화 하여 신진인력을 발굴하고 탄탄한 서사와 기술력이 결합된 ‘프랜차이즈’와 ‘유니버스’의 도입 등의전략으로 새로운 도약이 필요하다.
[학술논문] 유기와 봉쇄 : 2000년대 한국 독립영화 속 북한 재현
...2002), <경계도시 2>(2010)는 ‘월북지식인’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여기서 북한과 접촉한 자는 불온한 전염력을 지닌 ‘이념적 경계인(in-between)’으로 등장한다. 2010년을 전후로 허면 이념형 경계인 내지 북한재현 관련 국가보안법이나 표현의 자유 논쟁이 가라앉고 탈북자 형상을 소재로 한 상업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독립단편영화 <여기가 끝이다>(박인제, 2003)나 <배낭을 맨 소년>(정지우, 2003)등은 윤리적 카메라 워킹과 사실주의적 관찰로 탈북 청(소)년의 자본주의사회 부적응기를 보여주었다. 독립장편영화 <처음만난 사람들>(김동현, 2007), <무산일기>(2010) 등은 탈북자와 이주노동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