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호문화적 접근에 기반한 북한의 유학생용 조선어 교재 분석 : 《조선어(류학생용) 1-5》(2022;김일성종합대학)를 중심으로
...자문화와 타 문화를 다루는 방식;정치·사회적 관념의 표현;교재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교재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 내용 측면에서는 북한의 발전상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일에 대한 관심;자문화의 우수성 강조;타 문화의 단순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치·사회적 관념 측면에서는 사회주의 체제의 우선;성 역할 고정 관념;직업군의 편중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재와 학습자의 상호 작용 측면에서는 개방적 연습 활동이 부족하다는 점;유학생이 결핍된 존재로 묘사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숙달도 기준에 근거하여 교재가 집필되었다는 점과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는 것 등을 통해 북한의 교재도 외국어 교육의
상호문화성 추구 경향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