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한국을 향한 한국 교회의 선교적 사명
The unification of Korea is our dream and hope. However, Korea and Korean churches have not properly responded to and have not sufficiently prepared for it. Although some mega-churches performed numerous things and ministered mission works for North Korean refugees, most churches were involved in few economic support and humanitarian assistance. Furthermore, Korean churches have no strategies for the
[학술논문] 다문화 사회 진입에 따른 한국 교회 대응 방안 연구
...대한 교회의 관심과 적극적인 개입은 선교적 차원에서 뿐 아니라, 사회통합의 측면에서 매우 절실한 분야이다. 이는 그리스도의 사랑, 평등에 기초한 공동체 형성의 디아코니아적 실천이다. 한국교회는 다문화 복지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정작 현실적인 대안 없이 뒷짐을 지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한국교회의 선교적 차원에서 한국에 들어온 이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기회이다. 한국교회는 내국인을 포함한 이주자를 선교의 현장으로 인식하고 이들에게 선교적으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성경적 차원에서의 다문화 사역의 필요성과 교회 현황, 그리고 선교적, 교육적, 목회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 상황의 이해를 위한 문화인류학적 고찰
기독교 선교의 차원에서 외면할 수 없는 가능성으로서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준비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 통일 상황을 이해하고 상황화하기 위하여 문화인류학적인 시각에서 선교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고는 이를 위하여 경계(境界) 이론을 소개하고, 이것에 의하여 통일의 역사적 사례인 독일 통일을 간단히 살펴보고, 나아가서 한국 통일 상황을 단계별로 알아보고자 한다. 여기서의 경계이론은 정치적인 내용을 배제하고 문화인류학적 견지에서 경계의 발생과 소멸, 그리고 재형성 등을 고찰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이러한 경계론의 선이해를 위하여 범주와 분류 등의 인문학적인 이해에 근거하여 남북한 간의 경계 유지 상황을 각각의 고상황적 문화(high-context culture)들의 범주화 및 대립의 상황으로...
[학술논문] 남북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선교역사
...넘어서서 민족적인 문제이며, 한국교회의 선교적인 책무이다. 본 논문은 통일에 대한 관점을 통전적인 시각으로 전개하였다. 선교적인 관점에서 남북통일 문제는 에큐메니컬 입장이나 복음주의 입장, 어느 한쪽의 입장에 치우치지 않고 총체적이고, 통전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통일을 향한 선교신학적인 관점으로서 북한선교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를 다루었고, 통일에 대한 선교역사적인 관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남북 간의 통일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이해하면서 통일에 대한 한국교회와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접근과 제언을 시도하면서 한국교회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현재 남한에서는 통일에 대한 논의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계속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선교적 관점에서 북한선교와 통일을 다루었다...
[학술논문] 통일의 필요성에 관한 담론: 기독교 통일담론에 대한 함의를 중심으로
...꿈과 번영의 꿈(코리안 드림) 등을 살펴보았다. 국가에 있어서는 전쟁과 정전, 안보와 경제발전, 문화통합비용, 정부와 민간의 공조 등을 살펴보았다. 국제사회에 있어서는냉전의 종식, 한국 이해의 파행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통일담론이 기독교통일담론에 대하여 지니는 함의를 살펴보았다. 우선 기독교가 통일담론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를 역사적이유, 선교적 이유, 교회적 이유의 분류를 통하여, 기독교의 중심지와 기독교의 단절, 기독교 재부흥, 교회일치와 사회일치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이 한국의 통일담론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일치의 신학, 재건의신학, 만민의 신학, 공공의 신학 등을 살펴보았다. 기독교통일담론은 고유한 목소리를 통하여, 또한 다른 목소리의 감시자 역할을 하는 예언적 목소리를 통하여 한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