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공론장에 올라선 배운 여자들
신여성에 의한, 신여성에 대한 글쓰기
『한국 여성문학 선집』(전 7권)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을 엮은 ‘여성문학사연구모임’은 여성주의와 여성문학을 연구해 온 학자들이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사 서술을 목표로 2012년 결성한 모임으로, 『한국 여성문학 선집』은 그 첫 번째 프로젝트이자 성과물이다.
이 프로젝트는 “왜 우리에게는 『다락방의 미친 여자』 같은 전복적인 여성문학사, 『노튼 여성문학 앤솔러지』 같은 여성문학 선집이 없는가?”라는 한 가지 명확한 의문과 강렬한 열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여성문학사 서술은 여성주의 운동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사회/문화]
...네 번째인 '건강' 편은 북한이주민의 건강 관련 이슈에 주목한 결과물입니다. 그들의 일상을 인터뷰 형식으로 채록하여 생생한 언어로 펼침으로써 독자들이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두 챕터로 이루어진 『북한이주민과 건강 내러티브』에서 연구자들은 첫 번째로 건강의 개념과 영향요인, 북한의료체계와 서비스의 한계점, 북한의 성문화 및 성교육의 부재, 북한 여성들의 건강관리 실상과 건강관리 방식 등에 관해 살폈습니다. 두 번째로 탈북여성들의 건강 비법과 그녀들이 자신의 몸과 마음 회복을 위해 일상에서 어떠한 일들을 하는지에 관해 생생한 증언을 엮어 소개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북한이주민들의 문제점보다는 강점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자원과 성장 동기에 집중하고자 했습니다. 이와 같은...
[사회/문화]
여자가 감히 ? … 그래, 감히 군인들 앞에 섰다!
인류 역사는 전쟁과 폭력으로 얼룩졌고, 지금도 그러하다. 지난 100년간의 역사만 보더라도, 1차 세계대전이 끝나니, 2차 세계대전이, 그것이 끝나니, 한국전쟁이, 그리고 베트남전이 줄을 이었다. 아슬아슬한 냉전의 고비가 느슨해지는가 싶더니, 곳곳에서 분쟁과 테러가 빈발하고 있다. 르완다,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등, 그 이름을 다 열거하기조차 버거울 정도다.
여기서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유사 이래 모든 전쟁은 남성들이 일으킨 전쟁이라는 점이다. 또 여러 전쟁의 기원과 원인에 대해선 이런저런 정치적, 경제적, 사회학적, 심지어 생물학적 설명이 가능하겠지만
[학술논문] 북한산성의 승영사찰僧營寺刹 ― 사찰의 역할과 운영을 중심으로
...보국사‧보광사‧용암사‧태고사 등은 대동문大東門(현 대성문)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동쪽을, 그리고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국녕사‧원각사‧부왕사 등은 대서문大西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서쪽을 방어했다. 본영인 중흥사에는 승대장僧大將이 승군 전체를 지휘하도록 했고, 각 사찰에는 승장僧將‧수승首僧‧의승義僧 등을 두었다. 산성의 방어를 위해서 3군영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었지만, 각 사찰은 성문에 인접하여 산성방어의 최일선에서 그 역할을 한 것이다. 산성방어의 주역이었던 승군 중 대다수인 의승義僧(정원 350명)은 교대로 근무를 서는 의승상번제義僧上番制로 운영되었고, 이것이 영조 때 방번전防番錢을 납부하는 의승방번제義僧防番制로 전환되었다. 승군제의 변화와 함께 승영사찰의 변화도 불가피하였다. 하지만 사찰 본래의 목적이 산성의 방위였기 때문에 그대로...
[학술논문] 국민화의 문법과 여성문학, 그 불/일치의 궤적 - 임순득 다시 읽기
임순득은 1930년대 후반에서 195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활동한 여성 작가이다. 이제까지 임순득의 일제말기 문학은 반(反)파시즘과 저항적 민족주의를 실천한 사례로 고평되었고, 해방 이후 북한의 작가로서 창작한 소설은 북한 국가 체제와 여성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그려낸 수준작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현재 북한의 문학사에서 임순득은 삭제된 작가에 속한다. 이와 같은 임순득 연구사는 남한/북한의 민족문학 구성과 여성문학의 관계를 되짚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 논문에서는 임순득의 문학 텍스트를 시대적 상황과 수록 매체의 성격, 당대 문단의 주류 담론 등 다양한 맥락 속에서 재독해함으로써, 임순득 문학 속 여성성이 식민지 시기-해방기-전쟁기 젠더정치의 역학 속에서 지니는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우선, 임순득이 그려낸
[학술논문] 남북한가족법의 변천과 남북통일 후 가족법의 미래상
This paper is an extension of a keynote paper titled “The Impact of Division and Unification on Family Law: Implications from the Experiences of East Asia’s Divided Countries.” It was originally presented August 22 at the 201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Family Law in South and North Korea: A 70-Year Division, hosted by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Law. The
[학위논문] 북한의 보육제도와 여성문제에 관한 연구
.
[학술논문] 비대칭동맹 관점에서 미래 한미연합방위지침의 취약성 연구
...작전통제권을 중심으로 한국군의 역할과 자율성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발전되며,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만을 남겨두고 있다. 2018년 ‘전작권 전환 이후 연합방위지침’은 연합사령부를 유지하고 연합사령관에 한국군을 임명하는 새로운 접근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내재된 취약성을 식별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었다. 미래 연합방위체제의 주요 행위자에 대한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미래 연합사령관의 권한과 위상이 현재에 비해 축소되는 것을 식별하였다. 그리고, 비대칭동맹 구조에서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의 일환으로 미래 연합방위지침 내의 주요 행위자에 대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방향과 이에 대한 취약성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취약성이 구현되지 않도록 양국 간의 구속력있는 성문화된 근거의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