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견치 않았던 독일통일에서 동독의 민방위 및 재난대비분석에 관한 연구
...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두 번째, 민간단체들의 지속적인 대화와 교류확대 등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세 번째, 현실에 맞는 통일관련 단위조직의 재설정이 요구된다. 네 번째, 남북한 대화채널을 통한막대한 예산의 불필요한 낭비와 시설의 과잉 투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 번째, 상호 수평적·수직적 협력관계로 재난방지 및사후대책에 대한 신속한 대처능력의 극대화 전략과 기획을 진행해야 한다.
[학술논문] 국제 핵·미사일 통제체제의 ‘구조적 공백’과 북한의 핵·미사일 협력 네트워크
...역점을 둔다. 지금까지 북한의 핵 무기 기술이 핵 선진국으로부터 일방적 구애나 비합법적인 경로로 취득된 것으로 이해되었으나, 최근에 이룩한 북한 핵 미사일 개발 성과는 오히려 핵 무기 후발국들과의 수평적 공조에 의한 것이라는 데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이 같은 핵무기 개발에서 거둔 놀라운 성과 자체도 주변국에 위협적이지만 더욱 우려되는 것은 긴밀한 공조 관계에 있는 이들 핵 후발국들이 주류 국제 질서 밖에 있는 소위 ‘문제 국가’들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북한의 ‘협력’의 네트워크를 밝히는 것은 소위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이 핵미사일 ‘확산’과 그 ‘통제’를...
[학술논문] 노무현 정부 통일정책거버넌스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정부, 시장, 시민사회 간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대북·통일정책은 의제설정과정에서 결정 및 집행과정에 이르기까지 거버넌스적 특성이 광범위하게 관찰된다. 특히 김대중 정부에서 햇볕정책이 추진되고 노무현 정부에서도 이러한 정책 기조를 계승하면서, 통일정책과정에서 참여와 수평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시민사회 중심 거버넌스로서의 특성이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향후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중장기적으로 남북통일의 토대를 다지는 교류·협력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 근래 가장 남북 간 교류협력이 활발하였던 노무현 정부시기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통일정책거버넌스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통일정책거버넌스는 계층제적 권위를 중심으로 한 정부와 가격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하는 시장의 행위주체인 기업...
[학술논문] 남북한의 하계올림픽 참가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대회를 중심으로 -
...40개, 동메달 34개로 총 117개를 획득한 반면 북한은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9개로 총 21개로 남한대비 총계로는 18%이며, 각각 금메달은 14%, 은메달은 15%, 동메달은 26%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를 전제로 첫째, 상호 수평적-전략 교류협력 종목으로 역도 종목을 들 수 있다. 둘째, 상호 비대칭적-열세 교류협력 종목으로는 유도, 레슬링과 복싱, 그리고 탁구, 사격, 체조 등의 종목을 들 수 있다. 셋째, 상호 비대칭적-원조 교류협력 종목으로는 양궁과배드민턴, 그리고 펜싱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넷째, 향후 하계올림픽대회에서의 전략적이고 실천가능한 남북체육교류협력의 일환인 단일팀구성ㆍ참가를 위한 종목으로는 상호 수평적 전력에 기반한 역도 종목에서의 선제적 접근이 요청된다.
[학위논문] 통일한국의 행정체제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통일에 대비한 행정통합전략이외에도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행정통합전략이 필요하다. 첫째 광역 또는 기초자치단체의 통합에서 현존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좀 더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지원프로그램 즉 자매결연을 통한 동질성 회복 과정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적 특성이나 역사적 근거를 가진 집중지원구역의 설정을 통한 북한지역의 재건계획이 필요하다. 셋째, 국민통합을 형성하는 전략으로 민간단체의 지원을 통한 자발적 통합이 필요하다. 넷째, 통일에 대한 국민의식의 변화를 위한 대국민교육이 필요하고, 기본적인 교류와 협력을 다양화하여야 한다.
While it is possible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s to materialize through log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