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학생의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양상 연구
...하는 쓰기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 북한 이탈 학생의 필요와 요구에 근거한 쓰기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쓰기 태도와 관련된 남북한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탈북학생의 쓰기 태도와 효능감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탈북학생만이 재학하고 있는 경기도 H 중고등학교의 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쓰기 태도와 쓰기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이 지닌 변인 중 이전의 교육 경험(북한에서의 학교 교육 유무와 재학기간, 남한에서의 재학 기간)이나 입국 시기 등은 학생의 쓰기 태도와 효능감에 아무런 영향 요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급 간 비교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탈북 학생의 쓰기 태도와 쓰기...
[학술논문] 쓰기 학습에 대한 북한이탈 중학생의 요구 분석 연구
...쓰기 학습 영역에 한정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쓰기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북한 이탈 중학생은 쓰기 능력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으나 쓰기 활동에 대한 흥미는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에서의 생활 기간은 한국에서의 쓰기 학습을 통한 쓰기 실력 향상에 기여했으나 쓰기 흥미도와 쓰기 능력에 대한 자기 인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남한에서의 쓰기 교육이 북한 이탈 중학생의 쓰기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쓰기에 관련된 정의적 태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은 쓰기 학습과 관련된 여러 요인에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국에서의 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이나 제3국에서의 교육 기간이 긴 학생의 경우 쓰기 학습에...
[학술논문] 남북한 초등학교 쓰기교육 내용 비교- 남한의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본고는 남한의 2015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쓰기 영역에 국한하여 비교해 보았다. 남한의 교육과정은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의 분류에 따라 ‘지식, 기능(원리), 태도’의 틀을 잘 유지하는 선에서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쓰기의 본질이나 쓰기의 태도가 북한의 성취기준에 비해 강조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게다가 현대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른 매체 글쓰기도 핵심 요소로 다루고 있다. 반면 북한의 교육과정에서는 계량화되어 제시되어 있는 성취수준이 눈에 띈다. 이러한 성취수준이 학년에 따라 위계화되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북한의 교육과정은 글쓰기의 유형을 쓰기 행위의 목적이 아닌 문화적 양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렇기에 남한에서 볼 수 없는 벽보글이나 상식소개글 등이...
[학술논문] 남한·북한·연변의 기초 문식성 교육 내용 비교
...비교하되, 특히 한글 교육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세 지역에서 진행되는 기초 문식성의 공통적인 교육 내용은 자음 읽기와 쓰기, 모음 읽기와 쓰기, 글자의 짜임 이해, 음절 읽기, 문장 부호의 이해, 바른 순서로 글씨 쓰기, 단어나 문장 쓰기, 말놀이하기, 연필 바르게 잡기, 바른 자세로 책읽기 등이다. 한글 교육의 내용도균형적 접근 법을 따른다는 점이 유사하나 구체적인 지도 순서나 학습활동은 차이를 보였다. 남한에서는 교육공학적인 체계 속에서 음운론적 언어 접근법과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북한이나 연변의 경우 학습자들의 흥미나 탐구적 태도를 추인하는 학습내용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 지역에서 실시되는 한글 교육 내용의 구체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 자모의 이름을...
[학술논문] 소수민족문학사 서술의 전략- 오상순 외의 『중국조선족문학사』를 중심으로
‘문학사 쓰기’가 상상으로서 민족 혹은 국가를 실체로 파악하도록 추동하는 근대적 기획이라는 점에서, 조선족문학사 서술 역시 ‘조선족’이라는 특수한 공동체가 자기정립을 해나가는 과정으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중국조선족’이라는 자기인식이 중국이라는 국가를 구성하는 하나의 소수민족(국민)으로서의 자기와 조선민족이라는 기원적 자기의 길항 속에서 중첩적으로 구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중국조선족문학사’는 중국문학사의 부분으로서 자기를 정립해가는 동시에 남북한문학사라는 타자와의 동질과 차이를 구현함으로써 자기를 만들어가는 방식이 된다. 이는 문학사 서술의 행위 속에 자기정체성 정립의 욕망이 기입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