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와 시사점
이 논문의 목적은 광복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언어문화 운동의 역사를 개관하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제2장에서 북한 언어문화 운동을 1964년을 기준으로 삼아, ‘문맹 퇴치 및 한글 전용 운동’과 ‘문화어 운동’의 두 시기로 나누고, 주요 내용을 기술했다. 제3장에서는 북한 언어문화 운동의 특징과 시사점을 정리하고, 그것과 관련지어 남한의 언어문화 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생각해 보았다. 이런 논의 과정을 통하여, 북한의 언어문화 운동이 국가적 지원을 받아 줄기차게 전개된 지속적, 정치적, 대규모의 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전체 사회 영역에서 한글 전용을 완전히 정착시키고, 입말과 글말에서의 언어 평등을 이루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학술논문] 어문 민족주의와 미래 한국어의 정체성
...나라의 자주독립운동에서 본격적으로 촉발되었다. 주시경의 정신을 이은 조선어학회가 어문민족주의 운동의 중심에서 어문규범 정비와 사전 편찬의 대업을 이루었다. 그러나 1930년대에는 실용적 학문에 대한 반발로 언어자료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어문민족주의는 분단 후 남북한에서 체제의 차이로 달리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한글전용정책과 국어순화운동을 정부가 강제하였다. 남한에서는 정부의 한글전용정책에 대해 민간 일부에서 반발하는 양상이 오래 지속되었으나;국어순화운동은 민관 합동으로 전개되었다. 외국인이 인구의 5%를 차지하고 세계화;다문화 시대가 도래하여 어문민족주의는 다언어·다민족사회에 걸맞게 어문국가주의로 승화되어야 한다. 한국언어문화를 위한 7대 정체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