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수령권력'체제의 생성과 메커니즘
... 영도체계, 세습체계의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것이다. 수령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만큼, 수령 김일성이 부정되는 경우 북한체제에 균열이 초래될 수 있다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대적 존재로서 수령의 지위는 계승되지 않는다. 이는 김일성의 고유 영역이며,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정통성의 기반이 된다. 북한은 이를 유일사상체계라고 한다. 둘째, 수령 개념의 일부분인 영도적 역할만 후계자에 이양된다. 유일적 영도는 양자 지휘권의 통일을 의미하며 세습되는 권력체계로, 김정일․김정은 모두 영도자로서 통치한다. 북한은 이를 영도체계라고 한다. 셋째, 충실성은 후계자만의 고유 영역이다. 이는 후계자 자질의 첫 번째 요건으로 수령 범주에의 종속을 의미하며, 유일적 영도체계로서...
[학술논문] 북한 노동당 지도체계의 구성과 운용: 시대별 변화를 중심으로
...‘수령제의 계승과 재구성’의 관점에서, 노동당의 지도적 지위와 역할을중심으로 김정은 시대의 계승성과 차별성을 분석했다. 북한의 유일영도체계는 김일성과 김정일, 김정은으로 세습되는 과정에서 시대적 환경에 따른 일련의 계승성과 차별성을 나타낸다. 북한은 유일영도체계에 관해 “수령은 전당의 조직적의사의 체현자이며 최고령도자로서 당의 단결의 중심, 령도의 중심”이라고 주장한다. 동시에 ‘당의 영도는 곧 수령의 영도’라고 강조함으로써 당과 수령의 영도체계를 동일시한다. 즉, 당의 유일지배적 성격과 수령의 절대적 권위, 당의 영도적 지위와 수령의 유일적 지위를 일체화시킨 것이다. 요약하면, 수령의 유일영도체계는 곧 당의 유일적 영도체계이며, 당의 영도적...
[학술논문] 김정은 집권 이후 예술영화에 나타난 갈등에 관한 연구: 2015년 발표된 <벼꽃>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정은 시대의 북한영화의 제작 및 활용에 일정한 경향성을 가진 변화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김정은 집권 초기, 영화의 제작물량이 급격히 축소되었다거나, 영화문학가나 연출가의 면면이 바뀌었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선대의 유훈관철과 영도의 계승에만 머물 것인지 아니면 선대와 구별되는 행보를 보일 것인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김정은의 정치언어로 정교화 된 선군의 상징성이 북한예술영화 <벼꽃>에도 투영되는지 살펴본 결과, 인민중시, 실리사회주의, 청년중시의 유형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영화의 갈등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집단주의 대 개인주의, 실리주의 대 형식주의, 청년세대 대...
[학술논문]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분석을 통한 지배와 통치, 병진노선의 구현과 전망
...1월 1일부터 2018년 평창 올림픽 이전까지 현지지도를 조선중앙방송과 로동신문, 기타 자료들을 통해 정량, 정성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김정은 시대의 현지지도는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한 기존의 통치 개념이 초기에 우세하였으나 성과를 강조하여 그를 통한 지도와 과학을 바탕으로 경제핵무력병진노선의 양 축을 지배와 결부하려는 실리적 통치 개념의 빈도수가 높아지고 있었다. 새로운 통치 방식에서 나타나는 실리적 측면과 성과에 대한 부분, 그러면서도 철저하게 그 성과는 지배와 연결되도록, 실패는 합리적으로 수긍하면서 대처해 나가는 새로운 형태로 북한을 통치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실리와 합리성을 앞세운 발전의 외피에 내면은 철저한 유일영도체계, 김일성·김정일주의를 계승, 발전해 나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학위논문] 김정은 권력승계의 담론 연구
...재건과 병행한 김정은 후계체제 수립을 직접 지휘했다. 경제부흥을 국가목표로 설정하고 당을 후계자의 권력 기반으로; 대중운동을 수령-후계자의 통치방식으로 재제도화하는데 주력했다. 2011년 김정일 사망 직후 김정은은 그 아버지와 달리 애도기간 중 뉴스의 중심에 서서 권력공백의 위기에 민감하게 대응했다. 김정은은 이후 1970년대 김일성-김정일의 유일적 사상과 영도체계를 통해 사상· 조직적 헤게모니를 장악하며 지배엘리트에 대한 숙청을 단행하고; 인민과 병사 등 하부대중 친화적 담론을 통해 대중적 기반을 강화하였다. 김정일이 주도한 김정은의 후계자 담론전략은 ‘수령과 수령체제를 재생산하는 유일한 후계자’라는 핵심요소를 유지한 채 현실에 맞추어 변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