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우표의 국가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붙인 우편물이 유통되는 국가에서는, 북한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우표에 사용되는 도상들과 구호를 통해 여러 국가에 우표발행국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가 있다. 우표가 갖고 있는 ‘작은외교관’으로서의 기능을 일찍이 간파하고 있던 일본의 경우, 한반도식민지전략을 전개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1905년 11월 ‘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해 가기 전인, 1905년 4월 1일에 ‘한일통신기관협정’을 강제 체결 함으로써 우표발행권을 강탈해 갔으며 대한제국이 우편 업무를 통해 대외적으로 상황을 알릴 수 있는 길을 외교권박탈 이전에 미리 차단하였다. 북한의 우표가 갖고 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나라와 동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