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산성의 승영사찰僧營寺刹 ― 사찰의 역할과 운영을 중심으로
...대성문)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동쪽을, 그리고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국녕사‧원각사‧부왕사 등은 대서문大西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서쪽을 방어했다. 본영인 중흥사에는 승대장僧大將이 승군 전체를 지휘하도록 했고, 각 사찰에는 승장僧將‧수승首僧‧의승義僧 등을 두었다. 산성의 방어를 위해서 3군영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었지만, 각 사찰은 성문에 인접하여 산성방어의 최일선에서 그 역할을 한 것이다. 산성방어의 주역이었던 승군 중 대다수인 의승義僧(정원 350명)은 교대로 근무를 서는 의승상번제義僧上番制로 운영되었고, 이것이 영조 때 방번전防番錢을 납부하는 의승방번제義僧防番制로 전환되었다. 승군제의 변화와 함께 승영사찰의 변화도 불가피하였다. 하지만 사찰 본래의 목적이 산성의 방위였기 때문에 그대로 존속하였지만 승군의 폐지(1894)를...
[학술논문]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개관하고, 임진왜란 때부터 제기된 남한산성南漢山城 축성 논의와 전개과정, 승군에 의한 남한산성 수축과 사찰 조영, 방어체제 정비를 위한 승군의 조직화와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 임명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동아시아 중화질서의 변동기에 보여준 승군僧軍의 활약은 불교의 용인과 승역僧役의 제도적 운용이라는 정책 변화를 낳았다. 앞서 임진왜란의 의승군 활동은 불교의 위상을 제고시키고 사회적 인식을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승려 노동력의 공적 활용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는 불교계 입장에서 큰 경제적 부담이기는 했지만 한편 승려 자격과 활동이 용인됨에 따라 불교의 인적 재생산과 존립이 가능해지는 계기이기도 했다. 승역의 제도적 운용은 전란 후 양인 노동력의 부족을 메꾸기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서 국가의...
[학술논문]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사찰 불교회화의 현황과 과제
...보광전의 사례처럼 벽화에서 액자로 불화의 형태 변화를 파악할 수 있으며, 불단, 불상, 공예품과 함께 촬영되었기에 전각 내부에서 불화의 총체적인 기능을 이해할 수 있다. 1911년 제정된 사찰령은 식민지 문화정책의 방향과 목적을 드러내는데, 불교문화재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를 초래했다. 예배 존상으로서의 성보가 재화적 의미의 귀중품으로 인식되었다. 임진왜란 의승병을 위해 정조가 사액하여 만든 보현사 수충사에 삼화승 진영과 나란히 일본 임제종 개산조 진영이 봉안된 사례나, 식민통치 20주년 시정을 과시하기 위해 1929년에 개최한 조선물산공진회에 출품된 나옹화상계첩은 식민지 상황의 교단이 당면한 환경을 보여준다. 또한 중봉 혜호, 석옹 철유, 혜산 축연 등 금강산 불화승의 사례를 통해 개항기 불교미술품의 제작 환경...
[학술논문] 17~18세기 승군역(僧軍役) 운영방식의 변화와 의승방번전제(義僧防番錢制)의 시행
...시행하면서 의승(義僧)이라는 이름의 승군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효종은 양계지방을 제외한 전국의 승려를 윤회분정(輪回分定)하여 올라와 입번하도록 하는 의승역(義僧役)을 시행하였다. 의승역의 시행은 곧 중앙정부(軍營)-도-군현-사찰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승군 조발체계가 성립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정체제의 말단에는 사찰이 있었다. 중앙정부의 직접적 의승 조발(調發)은 숙종대(肅宗代) 전반까지 강화되었다. 그러나 북방 정세에 대한 불안이 대두되면서 18세기 전반 도성방어체계가 정비되고 외적이 도성으로 오는 길목의 주요 산성 역시 정비되었다. 지방 산성이 잇따라 축조되고 그에 따른 승군의 수요가 늘어난 반면 균역법이 시행되면서 지방재정은 더욱 어려워졌다. 결국 영조는 균역법의 보완 과정에서 기존에 관행화된 의승의 대립(代立)을...
[학술논문] 조선시대 북한산과 불교의 연고: 사찰과 산성 승군을 중심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사찰과 승군을 매개로 하여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한 북한산과 불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임진왜란 때에 충의를 앞세운 승군 활동으로 공적을 세운 불교계는 새로운 존립의 길을 모색해 나갔다. 국가에서는 승려 자격과 사찰의 존재를 인정하는 대신 승군과 승역을 국역 체계 안에서 제도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취했다. 17 세기 전반 남한산성에서 출발한 의승군 운용은 1711년 북한산성이 축성되고 승영 사찰들이 건립되면서 제도적으로 확립되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 승군과 승역의 제도화 과정에서 서울을 방어하는 북한산성 승군의 운용 양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초대 8도 도총섭 계파 성능(桂坡聖能)의 활동과 업적을 추적해 보았다. 그리고 승군제의 변천과 북한산 불교의 변화상을 검토했다. 이처럼 사찰과 승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