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주민에 대한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방안과 정책 방향
국가 통일 과정에서 교육의 중요성은 이미 통일을 이룬 독일의 사례에서 충분히 알게 되었다. 서독 중심으로 진행된 통일 과정에서 동독주민을 상대로 한 학교교육과 직업재교육 등의 분야에서 천문학적 교육비를 지출했다. 한국도 통일을 고려할 때 한국이 북한을 흡수통일을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북한주민의 교육지원을 어느 정도 해야 할 상황이다. 그렇다면 북한주민을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지원을 해야 하는가가 문제인데, 최근 들어 교육효율성뿐만 아니라 교육효과성이 검증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이 최적의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북한주민의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블렌디드 러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과 성공 조건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논문] 북한 김정은 정권기 원격교육 현황 분석: 고등교육 수준의 원격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의 목표로 제시했던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방도인 원격교육을 활용한 고등교육의 실행 상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김정은 정권기 고등교육 수준원격교육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북한은 해방 후 고등교육수준에서 우편, 통신 등의 방법 활용하여 원격교육을 실행해왔으며, 2007년이후에는 이러닝을 활용한 원격교육을 고등교육 수준에 도입하였고, 2014년‘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교육정책의 새로운 목표로 내세운 후에는 이 정책의실현을 위하여 주요 대학에 원격교육학부를 설립하는 방법으로 원격교육을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북한에서 원격교육 대학의 재학생 수는 2023년에13만 1천 명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대학생 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