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정환 담론 변천사 —아동문학 방면의 분화와 변화를 중심으로
...기초를 닦는 과정에서 방정환에 대한 탈영토화를 더욱 철저하게 수행했다. 분단체제는 남북한 정권의 적대적 의존관계로 유지 재생산되었다. 방정환을 둘러싼 남북한 주류 아동문학의 상반된 평가도 적대적 의존관계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북한과 달리 남한에서는 지배담론에 대한 저항담론이 존재했다. 이를 비주류라고 한다면, 이 흐름을 대표하는 아동문학가는 이원수와
이
오덕이다. 이들은 주류와 다른 자리에서 방정환의 아동문학을 이어나가려고 했다. 이들의 방정환 담론은 재영토화의 흐름을 이루었다. 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주류 아동문학에 대한 저항담론이 급부상했다. 그런데이 흐름 안에서 다양한 분화가 이뤄졌다. 세기전환기 이래 아동문단의 지형은 과거의 이념적 구도에서 탈피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의 방정환 담론은 입각점의 차이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