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인권문제의 국제적 개입 연구
...공동체의 평화와 안녕, 복지와 번영이 중요한 가치로서 잠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개인의 정치적 자유와 평등, 실용주의와는 대조를 이룬다. 그러나 동양의 대표적인 유가사상 내에도
인간의
존엄성의 측면에서 매우 많은 인치(仁治)와 덕치(德治)의 가치 규범을 갖고 있으며, 사회적·경제적 자유권 보장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의 인권개념은 사회주의의 이념인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실현을 최고의 가치로 하는 공동이익 인간관을 기반으로 한다. 개인으로서의
인간이 아니라 사회의 프롤레타리아 계급 집단의 일원으로서의
인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부르주아는 투쟁의 대상으로 보며, 개인의 권리보다는 사회의 권리, 즉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권리를 우선시 하고, 그 이외의 권리는 부정된다. 북한은 국제사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