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년대 재일한인의 다문화 담론 연구 ‒잡지『상봉(相逢)』을 중심으로‒
...북한송환사업이 종료되면서 재일조선인의 정주의식이 강하게 작동하기 시작한 시기에 오사카에서 발행된 민족 정보지 『
상봉』을 중심으로, 완전 동화되기보다는 차이를 만들어가며 공존의 방식을 모색해 온 조총련계 마이너러티 정보지가 민단과 한국을 어떻게 포섭・
표상하고, 어떠한
다문화 담론을 만들어가려 했는지에 대해서 남북일의 중층적인 관계성 속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그 결과, 『
상봉』은 1972년의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슬로건으로 내걸고 있는 조국통일과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민족 대단결’을 목적으로 다양한 일상 생활사와 관련된 정보를 발신하고 있지만, 동시대 한국에 대한
표상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의 군사정권 하의 민중의 불안함과 저항을 적극적으로 소개하면서, 폭력적인 군사정권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