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련과 중국의 전략로켓부대 창군과정과 북한 상황 분석
본 논문은 공산국가의 대표적인 소련 “전략로켓군” 혹은 중국 “제2포병”의창설이 무기체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관심을갖고 출발한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질문에 대한 답을찾고자 한다. 그것은 첫째, 전략 핵 부대인 전략로켓군과 같은 부대가 왜 창설되었는가? 둘째, 이러한 전략로켓부대로의 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셋째, 그렇다면 이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라는 사실이다. 이를 위해전략로켓부대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학술논문] 냉전 초기 소련의 핵개발 특성과 핵전략
...경쟁적인 구도 속에서 발전되었다. 당시에는 미국과의 극복할 수 없는 핵전력의 열세로 인해 핵전략에 대한 인식 자체가 부족하였으며 핵무기를 미국의 침략을 억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만 간주했다. 하지만 이후 흐루시초프 시대에는 수소 폭탄과 장거리 탄도 미사일의 개발에 국가정책의 초점이 맞춰져 미국과의 핵 균형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전략로켓군’을 창설하는 등 군사전략으로서의 핵전략이 발전되기 시작했다. 소련의 냉전 초기 핵개발 특성과 핵전략이 우리의 가장 큰 위협인 북한의 핵전략 형성에 주는 두 가지 시사점은 첫째, 북한 핵무기의 실전 배치를 앞둔 상황에서 북한은 핵무기 운용을 위한 핵전략을 이미 수립하였거나 수립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적극 추진하고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핵전략을...
[학술논문] 북한 전략군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에서 핵․미사일 전담 운용 부대는 포병군단으로 창설된 이후 미사일지도국, 전략로켓군, 전략군으로 명칭이 변화했다. 북한 전략군은 지상군 및 해․공군과 구별되는 독자적 군종으로서 제4군의 위상을 가지며, 총참모장의 지휘․통제를 받는 다른 부대와 달리 최고사령관으로부터 직접적인 명령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은 체제가 추진하는 경제건설 및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에서 전략군은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지만, 핵전력 구축 초기라는 점에서 아직까지 제대로 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전략군은 북한이 기존에 유지해 온 재래식 전력 중심의 군사전략에 유연성과 다양성을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의 운용에 전략군이 관여하지 못할 경우 북한 내에서 핵․미사일 전력의 운용 권한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