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대북정책: 동맹관계와 정상관계의 선택적 균형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추이를 동맹관계와 정상관계의 선택적 운용이란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시진핑 지도부가 동맹관계와 정상관계를 양극단으로 한 범위 내에서 대북정책을 선택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것의 전략적 의미와 내용, 선택적 균형의 유용성과 한계 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시진핑 지도부의 대외전략 기조와한반도 전략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대미정책을 중심으로 한 대외전략의 공세적 조정이 중국의 한반도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 시진핑집권 이후 한반도전략과 대북정책의 구체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며 특히한중 전략적 협력 확대가 중국의 대북정책, 북중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한다. 셋째, 중국이 북한과의 동맹관계, 정상관계를 선택적으로 혼용하고자 하는전략의 유용성과...
[학술논문] 중국 시진핑 정부의 대북정책과 북핵문제
...섣부르게 중국의 대북정책이 변하였노라고 분석되기도 하였으나 북중의역사적, 전략적 맥락을 간과한 분석이라는 것이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의 대북 제재를두고 벌어지는 미중 간의 갈등과 한중의 외교적 마찰로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입장에서도북중 관계의 가장 곤혹스러운 부문이 ‘북핵 문제’이다. 북중관계는 비록 특수 관계에서국가 간의 정상적 관계로 평가 절하된 측면이 있지만 ‘특수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할수 있다. 지정학적인 전략적 측면과 역사적 이념적으로 공유하는 정서가 있기 때문이다. 동맹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북한의 핵실험 이후 중국에서 ‘동맹 폐기론’, ‘동맹 강화론’, ‘현상유지론’이 경합하고 있으나...
[학술논문] 통일시나리오 논의의 틀 : 북한경제의 이행・발전 방식 및 남북한의 국가결합 유형을 중심으로
...유형 및 이를 뒷받침할 과도적 국가결합 형태를 연계함으로써 ‘통일논의의 틀(남북한 정치경제통합 유형)’을 제시한다. 경제통합 유형은 수준에 따라 통상적 경제교류, 경제협력 심화, 재화시장 통합, 자본시장 통합, 노동시장 통합, 통화통합 및 재정정책 분리, 재정정책 통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가결합 형태는 결합의 강도를 기준으로 정상관계, 양안관계, 국가연합, 연방제, 단일국가내 특별행정구역, 완전한 단일국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경제통합 유형과 국가결합 형태를 조합하면 대부분 통일방안의 좌표를 포착할 수 있는 ‘통일논의의 틀’을 시각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통일논의의 틀’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남북한의 정치・경제통합 유형들을...
[학위논문] 韓國政治勢力과 南北關係發展에 關한 硏究
...6자회담을 축으로 한 지역기제는 무용지물(無用之物)이 돼버릴 위험성이 있다. 이해 당사국이 정책을 조정함으로써 지역 기제를 유지하면서 지역안보체제를 정비하면 남북관계는 안정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고 남북한에 화해와 협력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유엔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남북관계의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다. 유엔이 냉전시기의 도구성격을 버리고 세계평화유지기구로서의 이미지가 부상하였다. 남북관계는 법적 특수성격에 기반을 두고 남북갈등 양상을 항상 보여왔다. 근본적으로 보면 주로 체제경쟁을 목적으로 한 헌법을 비롯한 법이 남북관계발전을 제한하고 있다. 그래서 남북한이 새로운 시대의 민족주의를 재개발하여 국제규범에 의해 각각 현실성을 결여한 국내법을 재정비함으로써 남북정상관계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학술논문] 북한 ‘우리식 경제관리방법’의 모순과 사회의 혼종
본 연구는 김정은 시기에 취해진 제반 개혁조치 이후, 북한의 국가와 사회관계속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역동성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북한의 시장화는 전진과퇴행을 반복해가며 진행되었다. 그 결과 국가의 정책 의도와 그 사회적인 결과가비동시적이며 불일치하게 나타났다. 북한 사회는 관행적 비법과 비공식의 만연, 제도의 굴절과 왜곡된 시행, 권력과의 결합과 혼재 등 다양하고 중층적인 사회구성물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가 의도하는 대외무역과 과학기술의발전, 그리고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통한 기업활동의 정상화 관계를 규명하고, 이로부터 소외된 개인 사업자들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또한 국가 중심의 개혁 조치들이 수혜자와 소외계층을 양산하며 사회의 격차를 발생하고 있다고 결론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