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련과 중국의 전략로켓부대 창군과정과 북한 상황 분석
본 논문은 공산국가의 대표적인 소련 “전략로켓군” 혹은 중국 “제2포병”의창설이 무기체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관심을갖고 출발한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질문에 대한 답을찾고자 한다. 그것은 첫째, 전략 핵 부대인 전략로켓군과 같은 부대가 왜 창설되었는가? 둘째, 이러한 전략로켓부대로의 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셋째, 그렇다면 이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라는 사실이다. 이를 위해전략로켓부대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를 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학술논문] 냉전기 주요 핵보유국의 핵개발 전개과정 비교: 미국, 소련, 중국의 핵전략 및 핵지휘체제 변화를 중심으로
...것인가를파악하기 위해, 냉전기 소련과 중국에 의해 핵개발이 추진된 경과를 고찰하는것이 유용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착수되었다. 1949년 최초의 핵실험을 단행한 소련은 핵전력에 앞서 나간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 운반수단으로 전략미사일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전략로케트사령부를 신설하고, 핵전력에 중점을 두는 단일무기전략을 발전시켰다. 한편 1964년 최초의핵실험에 성공한 중국도 제2포병 사령부를 설치하여 핵 및 미사일 전력을 관할하게 하였으나, 소련과 달리 방어적인 성격의 ‘핵선제 불사용’ 원칙을 일관되게표명하였다. 구공산권 국가들이 핵전력 등장 이래 보여준 군사제도 및 군사전략의 변화양상을 고려하면서, 북한의 핵전력 개발이 초래할 한반도 안보환경의 변화에 대응해 가는 대응태세 구축이 절실하다.
[학술논문] 북한군 제2보병사단의 6·25전쟁 초기 작전
...제2보병사단은 6·25전쟁시 북한군의 주요 공격부대였다. 전쟁 개시 전에 함흥에서 출발하여 화천에 전개했다. 인원은 충원되었지만;장비와 물자는 부족했다. 1950년 6월 25일 춘천-가평 축선을 담당하여 공격하였고;서울을 포위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하지만 춘천전투에서 실패하면서 임무는 변경되었다. 북한군 제2보병사단은 가평을 거쳐 팔당에서 한강을 도하했다. 보병부대와 포병;연료 등은 제때에 도하하였지만;도하장비의 부족으로 일부 장비는 도하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강도하를 마친 제2보병사단은 국군과 교전하며 남쪽으로 진격했다. 7월에는 광주;용인을 거쳐 안성과 이천으로 이동했다. 이어서 진천과 청주를 점령했다. 이후 보은을 거쳐 황간을 점령하고;김천에 도착했다. 1950년 8월 김천에서는 제2보병사단은...
[학술논문] 북한의 KN-23 (19-1) 전술 미사일 연구
...군사적으로 남한의 공군력, 특히 스텔스기 기지와 무인정찰기 기지 등을 점표적으로 타격하기 위한 것, 또한 공군기지, 해군 항만기지와 포항제철 등의 전략시설을 면적사격하기 위해 정밀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정치적으로 바이든 정부 출범에 대한 존재감 부각과 북한문제 우선 인지 압박, 대북제재의 회피, 한미 연합훈련 대응, 주민들에 대한 교육 홍보 등의 다목적으로 시험발사를 하였음을 기술하였다. 북한은 이러한 전술 미사일을 운용하기 위하여 전략군사령부 또는 포병사단 예하에 전담 부대를 창설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한반도내 미군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반접근·지역거부((A2/AD)와 ‘거부적 억제(deterrence by denial)’전략으로 운용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6·25전쟁 시기 포병 탄약 보급체계 연구 - 철도, 도로 수송을 중심으로 -
...한미연합군의 포병부대 탄약 보급체 계를 미군의 지원 이전과 이후 시기로 구분하여 고찰했다. 한국군은 전 쟁 발발 직전과 유엔군의 지원 이전에는 미 군사고문단의 승인에 따라 탄약을 보급받았고 탄약의 양은 전면전을 수행하기에는 매우 부족했다. 탄약 보급은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았고 육군 지휘관들의 탄약 확보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 정도에 따라 북한군의 남진 속도가 결정되 었다. 본격적인 탄약 보급체계는 미군이 참전하고 부산기지사령부가 창설 되면서 확립되기 시작했다. 미군은 일본군수사령부를 창설하여 일본 본 토를 군수지원 기지로서 활용했고 해상과 공중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부산에 위치한 창에 탄약을 보급했다. 이후 부산에 하역된 탄약은 기존 에 설치되어 있던 철도체계를 통해 전장으로 수송되었고 철도 수송이 제한되는 지역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