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정원 수사권 존치의 당위성에 관한 고찰
...군사정변 이후 중앙정보부 창설을 계기로 도입된 이래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남북이 대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상황에서 현재까지 그 기능을 유지해 왔다. 이는 안보수사 가 전문적 지식을 가진 정예화 된 수사요원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수사과정에서 고도의 보안이 요구된다는 특성 때문이다. 해외정보기관의 실태를 보면 82개국 중 30개국(이중 19개국이 조사권 보유)만 수사권이 없을 뿐 보유 국가가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9·11 테러 이후 주요 선진국들은 초국가적 안보위협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정보·수사 기능의 통합을 모색하고 있다. 국정원의 안보수사권 폐지를 주장하는 쪽에서는 인권침해 및 권한남용 등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나, 이는 법적·제도적...
[학술논문] 아동⋅청소년인권 보호와 국가인권위원회 결정례 연구
...결정례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결정례를 분석한 결과, 학교 밖보다 학교 내에서의 진정이 많았다. 판단 근거로는 「헌법」 제10조와 제12조, 「아동권리협약」 제3조 및 제19조를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례를 통하여 아동⋅청소년인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하여 첫째, 국가인권위원회 결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학교의 권고수용률을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인권위원회법 제30조 제3항의 직권조사권과 제47조 피해자를 위한 법률구조 요청과 제48조 긴급구제 조치의 구조를 적극 인용할 것 둘째, 아동⋅청소년인권침해와 관련하여 판단기준의 제도화와 인권감수성의 정착의 필요성 셋째, 아동⋅청소년인권 인식의 강화를 위하여 교육과 관계기관의 협력체계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학위논문]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경험과 통일 후 북한 불법청산에 활용가능성
...포괄적·개별적 과거사청산 인정기준은 모두 국가에 의한 중대한 인권침해라는 공통점도 있지만, 포괄적 청산은 인정기준이 포괄적·개방적이며, 개별적 청산은 개별적·한정적이라는 차이가 있다.
과거사청산의 청산방식은 진실규명, 가해자 처벌, 배·보상, 진실화해 등 청산의 목적에 부합하는 수단이 선택됐다. 물론 조사권이 강제성을 담보하지 못해 실효성이 없었다는 점, 화해조치가 제 역할과 기능을 하지 못했다는 점, 배·보상의 부재와 형평성 문제로 피해자들의 불만이 컸다는 점, 권고가 지도적 기능을 하지 못했고, 실효적이지 못했던 명예회복조치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은 국가불법에 대한 진상규명과 미흡하나마 피해회복이...
#박범영 #불법청산 #북한의 불법청산 #통일 #과거사청산 #청산인정기준 #청산방식 #개별적 과거사청산 #포괄적 과거사청산 #청산대상 #청산범위 #국가불법 #청산주체 #진실화해모델 #배보상모델 #신원모델 #처벌모델 #혼합모델 #망각모델 #세계의 과거사청산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 #남미의 과거사청산 #독일의 과거사청산 #남아공의 과거사청산 #진화위 #민보상위 #의문사위 #state illegality #past liquidations #comprehensive past liquidation law #individual past liquidation law #Liquidation of state illegality #the criteria for recognition of liquidation #North Korea’s illegal liquidations #punishment
[학술논문] 개정된 국가정보원법에 대한 소고 - 국가정보원의 권한을 중심으로 -
...국제범죄조직, 사이버 안보 정보 등을 수집 가능하지만 국내 보안정보는 삭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정보활동은 가능한다. 그리고 새롭게 신설된 권한으로 대응조치권이 있는데 이를 통해 북한 및 외국과 연계된 내국인 활동을 확인, 견제, 차단할 권한이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이 권한의 정의와 한계가 불분명하여 논란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사권을 대체하여 조사권이 부여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현장조사, 문서열람, 자료 제출 요구 등이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서도 수사와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비판과 함께 명확한 기준 설정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한편, 국정원의 권한 축소로 인해 정보 및 수사 업무의 단절이 발생하며, 국가 안보에 대한 포괄적 대응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무엇보다 정보활동에 대한 구체적 수권규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