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抗美援朝’ 전쟁과 周恩來
...인적․물적․사상적 지원 하에 추진된 총력전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전방위적인 항미원조를 책임 지도한 사람은 바로 총리이자 외교부장이며, 중앙군사위 부주석인 周恩來이다. 당시 중국의 외교와 내정이 周恩來에게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에, 周恩來는 정책결정에 참여하고, 작전 지휘, 인민지원군 편성․간부배치․무기장비 조달․병력보충 등 군사업무 뿐 아니라, 후방 지원과 물자공급, 국가관리와 외교담판, 정전협상 등 수많은 과제들을 책임지고 처리한 항미원조전쟁의 실질적 지도자였다. 본 논문은 1950년 신생중국의 군사와 경제 상황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는 周恩來가 왜 어떤 논리로 강대국 미국과 전쟁을 결정하고 인민지원군을 출병시키게 되었으며, 항미원조전쟁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추진한 항미원조운동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학위논문] 북한 화교(華僑)의 사회적 지위에 관한 연구
...특별한 지위를 소유하고 있다.
필자는 막스 베버(Max Weber)의 정의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부(富), 권력 및 위신 등 세 가지 기준의 결합으로 파악하였으며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의 역사적인 변화를 살펴 봤다. 필자는 북한 역사를 김일성 시대의 초기 (1945년부터 1958년의 중국 군대의 철수까지), 중기 (1958년부터 1971년에 주은래의 북한방문까지) 및 후기(1971년부터 1994년에 김일성 사망까지), 또한 김정일-김정은 시대로 구별하고 각각의 시대에 북한 화교의 사회적 지위의 변경을 분석했다.
제3장은 다이아스포라의 기원 및 식민지 시대, 소련 군정, 김일성 시대 초기 역사 관한 것이다. 필자는 일본 제국의 패망, 국공내전 공산당 세력 승리, 그리고 한국전쟁이 화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