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주택거주인의 보호방향에 관한 민사법적 고찰
...계획경제를 포기하고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표적인 국가에는 중국, 러시아, 동독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들 국가들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포기하는 대신에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채택하면서 체제전환을 하였다. 이에 반하여 북한은 여전히 개혁, 개방정책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전혀 상이한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현재의 남북한이 장래에 통일을 할 경우에 제도적 통합과정에서 통일한국의 주택소유제도와 주택임대차제도를 어떠한 모습으로 재편하여야 될 것인지, 그러한 재편과정에서 어떠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논리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저자는 북한주택의 사유화 및 주택거주인을 보호하기 위한 입법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지역의 주택사유화와 그 이후 주택임차인 보호에 관한 연구
...사회질서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법제도이므로, 불합리한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한다 특히 주택소유 및 주택임대차제도는 인류의 역사와 더불어 발전되어 온 사회제도라기 보다는 최근에 이르러 새롭게 창출되어진 사회제도라는 점에서 종래에 발생한 법적 문제점들을 면밀하게 분석한다면, 장래에 정립될 관련제도는 더욱 합리적이면서 실질적 정의에도 부합될 여지가 높다고 생각한다 또한 통일한국의 주택소유 및 주택임대차제도를 합리적으로 재편하기 위해서는 남북한의 주택소유 및 주택임대차제도가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재편과정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타인소유의 주택을 일정기간 동안에 이용하는 경우에, 주택임대인과 동동한 지위에서 주택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을 체결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