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2022년 한미정상회담과 글로벌 중추국가: 억지, 경제안보, 글로벌 기여의 실행력을 위한 전략적 고려사항
... 미국 경사로 전략을 더 명확히 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의 독자적 인도·태평양전략은 급변하는 정세에 더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지역전략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국제규범과 원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팬데믹 퇴치, 기후변화 대응, 핵심기술 개발 등 한국이 보완적 강점을 지닌 세부 분야에서 지역 국가들과 협력 확대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한미일 대 북
중러 간 대립적 진영구도가 심화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반도 긴장 상태를 완화하고 북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중국과의 협력도 필요하다. 한국의 전략적 유연성이 더 필요한 이유이다.